4.1 빌레이 체인과 자기확보
(1) 확보의 연결고리(Belay Chain)
선등자와 확보자는 로프로 연결되어 있다. 확보자는 고정된 확보물에 잘 묶여져 있고, 선등자와 확보자사이의 로프는 선등자가 설치한 확보물에 통과 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확보연결고리’라고 한다. 암벽등반의 안전확보의 기본은 이 확보연결고리의 연결요소들이 안전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등반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는 튼튼해야 하고, 로프는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충분히 견딜 만큼 튼튼해야 하며, 안전벨트와 로프를 연결하는 매듭은 잘 묶여 있어야 한다. 확보자는 등반자가 추락할 경우 몸이 딸려 가지 않도록 확보물에 잘 묶여져 있어야 하고, 추락할 경우 로프를 확실하게 제동할 수 있는 완전한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선등자가 설치한 확보물은 추락의 충격에도 파괴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같이 사용한 카라비너나 슬링도 파괴되어서는 않된다. 또한 추락자가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추락도중 바위나 나무에 충돌하지 않도록 확보물 설치간격과 위치를 잘 선택해야 한다.
암벽등반의 위험은 추락에 있는 것이 아니다. 추락은 암벽등반의 위험요소가 아니라 암벽등반중에 발생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여러가지 장비와 기술을 가지고 벌어질 위험으로 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위에서 열거한 확보연결고리의 안전조건들이 바로 위험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 것들 중에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생긴다면 그것은 바로 위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2) 자기 확보
등반자가 확보지점에 자신의 몸을 묶는 것을 ’자기확보’라 한다. 자기확보를 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안전벨트에 연결된 슬링을 확보지점과 연결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등반로프를 직접 확보지점에 묶는 방법이 있다. 슬링으로 자기확보를 할때 사용되는 슬링을 우리는 ’자기확보줄 또는 확보줄’이라고 한다.
![]() |
![]() | |
나무와 같은 큰 확보지점에서의 자기 확보 | 자기확보줄을 이용한 자기 확보 |
* 확보줄 : 확보줄은 보통슬링에 중간중간 옭매듭을 하여 알맞은 간격의 고리를 만들어 적당한 확보거리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코드슬링을 사용할 경우 최소한 8mm이상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웨빙슬링은 너비 2cm이상이면 적당하다. ’고리줄(데이지체인 ; daisy chain)’은 확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고리가 중간에 여러개 만들어져 있는 확보줄이다.
* 등반로프를 이용한 확보줄 : 등반로프를 이용한 자기확보법은 안전벨트에 묶여진 등반로프를 직접 확보지점에 묶는 방법이다. 확보지점과 적당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는 길이에 클로브히치매듭을 하여 확보지점의 카라비너에 연결한다. 이 방법은 별도의 확보줄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확보지점과 안전벨트의 연결부분이 복잡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적당치 않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