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지식·장비

8.3 확보물과 로프의 연결

힉스_길메들 2012. 3. 1. 04:44

확보물에 로프를 연결하는 방법은 단순하지만 매우 중요하다. 확보물 설치의 순서는 장비, 카라비너, 연결줄, 카라비너, 로프의 순으로 하되 자연확보물의 경우 확보물, 연결줄, 카라비너, 로프의 순서로 설치한다. 장비에 연결줄을 사용하는 이유는 로프의 움직임으로 인한 확보물의 영향을 줄여주고 로프가 장비를 통과할때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카라비너에 로프를 통과시킬때 로프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통과시킨다. 또한 카라비너와 카라비너를 연결하면 로프의 움직임이나 추락의 충격으로 개폐구가 열릴 수도 있으므로 항상 카라비너와 연결줄을 사용해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잠금 카라비너를 사용하거나 두개의 카라비너의 개폐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여 설치한다. 확보물에 연결줄을 걸때도 직접 연결하기 보다는 카라비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철선 케이블의 쵸크를 사용할때는 케이블이 연결줄을 절단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비상 사태일 경우에는 철선 케이블에 연결줄을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절대로 거스 히치 매듭으로 연결해서는 안된다. 확보물(일반적으로 볼트나 피톤)에 카라비너를 직접 연결할때 개폐구를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 이유는 특정한 방향으로 추락할때 카라비너가 빠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퀵 드로를 이용하는 경우 확보물에 연결되는 카라비너의 개폐구를 안쪽으로 향하여 후등자가 회수하기 쉽도록 하고 로프에 연결되는 카라비너는 개폐구를 바깥쪽 방향으로 하여 추락의 충격으로 인한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