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쓰림에 대처하는 약물 사용법
식약청, '속이 쓰리고 아플 때 약 잘 사용하세요' 매뉴얼 발간
위산과다로 인해 위가 쓰리고 아픈 속쓰림. 위산과다는 불규칙한 식사습관, 매운 음식, 술 등의 자극성 음식섭취와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소비자가 속쓰림에 사용하는 일반의약품(제산제 등)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설명한 「의약품안전사용매뉴얼」 '속이 쓰리고 아플 때 약 잘 알고 사용하세요'를 발간·배포한다고 14일 밝혔다.
위산과다, 속쓰림, 신트림 등의 증상완화에 사용되는 약은 ▲위산을 직접적으로 중화시켜 주는 무기성 중화제(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등 함유제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위산분비 억제제(H2-수용체 저해제) 등이 있다. 식약청은 속쓰림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 의약품을 사용할 때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안내했다.
◇ 속쓰림 등에 사용하는 의약품 사용시 주의사항
2주 정도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복용을 중단하고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쓰림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은 단순 위산과다뿐 아니라 위·십이지장 궤양, 만성위염, 위암 등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체중 감소, 빈혈, 흑색변 등의 증상이 결합되면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식은땀, 어지러움이 있거나 짧은 호흡과 함께 가슴 또는 어깨 통증이 동반하는 경우에는 협심증 등 심장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전문가 진단이 필요하다.
설사를 하거나 신장장애 환자의 경우에는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겔, 탄산칼슘 등의 무기성 중화제를 복용하면 안 된다. 특히, 다량의 우유, 칼슘제와 함께 복용할 경우에는 혈중 칼슘 농도가 증가하여 탈수증 또는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니자티딘, 파모티딘, 라니티딘 등 위산분비 억제제(H2-수용체 저해제)를 사용하는 경우, 위산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아스피린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복용 여부 등을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와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식약청은 "속쓰림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맵고 짠 음식을 줄이고 담배를 끊거나 술과 커피를 적게 마시는 것이 증상 개선에 도움될 수 있다"며 "단순히 약물에 의존하기보다 식습관 및 생활 습관의 변화 등 복합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drug.kfda.go.kr) 의약품분야서재 > e-book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베이비뉴스 정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