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에서 방향을 바꾼다
피봇팅
피봇팅은 체중 이동만으로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앞바퀴를 축으로 뒷바퀴를 움직이는 프론트휠 피봇과 뒷바퀴를 기준으로 앞바퀴를 움직이는 리어휠 피봇을 연속으로 구사하는 것이다. 피봇팅에 익숙해지면 막다른 곳이나 좁은 산길에서 땅에 발을 딛지 않고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상준(www.biketrials.co.kr)
체중이동만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피봇팅(Pivoting)을 소개한다. 이 기술은 좁은 공간 또는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기술로, 체중 이동의 기본을 충실히 하게 익힐 수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트라이얼의 모든 기술은 준비동작에서의 힘 모으기, 힘을 주었을 때 생기는 반발력, 반발력이 생겼을 때 그 힘을 최대한 활용하는 몸의 탄력, 힘의 방향을 자유자제로 다룰 수 있는 체중 이동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모든 스포츠에서 쓰이는 힘을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령이다.
피봇팅: 스탠딩 상태에서 체중 이동으로 앞뒤 바퀴를 들었다 놨다하며 회전하는 테크닉이다. 좁은 공간에서 체중 이동으로 방향을 바꿔 자신이 진입하고자 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수 있으며, 이 기술이 숙달되어야 좁은 공간에서 발을 땅이나 지면에 딛지 않고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한쪽 바퀴를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컴퍼스로 원을 그리는 것과 흡사하다. 차이점이라면 앞바퀴를 기준으로 뒷바퀴를 움직이고, 뒷바퀴가 움직인 후에는 뒷바퀴를 축으로 앞바퀴를 움직이는 것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한쪽 바퀴를 기준으로 계속 움직일 수도 있다.
< 출처 : 바이씨클라이프 웹진 >
① 모든 기술의 기본인 스탠딩 상태를 취한다(아직 스탠딩이 미숙하다면 천천히 진행하다가 ②번 동작부터 시작해도 상관없다).
② 앞뒤 브레이크를 모두 잡는다. 머리를 회전하고자하는 반대방향으로 내밀며 전방으로 체중을 이동하고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을 빼 뒷바퀴를 살짝 들어준다. 이때 페달에서 무게를 빼는 느낌만 들 정도로 하고, 페달에서 발이 떨어지지 않도록 앞으로 간 발은 전방으로 밀어주고 뒤로 간발은 페달을 뒤쪽으로 밀어서 양발로 접지력을 유지해야 한다.
③ 뒷바퀴가 들림과 동시에 핸들을 앞으로 나간 발의 반대방향으로 틀어준다. 이때 시선은 틀어준 방향을 주시하며 머리와 상체를 과감하게 움직인다. 핸들과 같은 방향으로 상체가 수평으로 이동해야 한다. 핸들을 틀어준 반대쪽(앞으로 나간 발의 방향)으로 골반의 반동을 이용해 뒷바퀴를 이동한다. 여기까지가 프론트휠 피봇(front wheel pivot: 앞바퀴를 축으로 뒷바퀴가 회전하는 것)이다.
포인트: 이 동작에서 골반도 함께 회전하는 방향으로 나가주어야 하는데, 이때 뒤로 간 발의 끝이 지면을 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전거를 회전시키기 위해 페달과 발 사이의 접지력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렇듯 뒤로 간 발이 회전을 위해 차체를 안쪽으로 밀어주는 것이 회전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자신의 동작 중에 뒷바퀴가 뜨지 않거나 또는 완벽하게 회전하지 않을 때 자신의 골반 움직임과 뒤로 간 발의 모습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④ 뒷바퀴가 지면에 닿자마자 몸의 반동을 이용해 핸들을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겨 앞바퀴를 든다. 시선은 항상 이동하고자하는 위치를 주시하고 머리와 상체를 역시 과감하게 움직인다. 이것은 리어휠 피봇(rear wheel pivot: 뒷바퀴를 축으로 앞바퀴가 회전)이다. ③, ④번 동작을 그대로 하면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 수 있고, ④번 동작의 방향만 바꾸면 게걸음을 치듯 옆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무게중심의 이동을 잘 생각하면서 연습해 보자.
■ 문의: 바이크트라이얼 www.biketrials.co.kr b
※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할 트라이얼 상식
트라이얼을 위한 프레임은 따로 있는가?
트라이얼 전용 프레임이 나오지 않았을 때만 해도 12~15.5인치 정도로 작은 XC용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던 중 90년대 중반부터 트라이얼을 위해 휠베이스와 체인스테이, B.B의 사양이 달라진 제품들이 하나둘 선보이기 시작했고, 라이더들 또한 높은 성능의 프레임에 맞춰 자신의 실력을 끌어올리기 시작했다.
이는 어디까지나 전문적인 트라이얼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으며 이제 막 입문한 초보 라이더들에게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이유는 전문적인 라이더들에겐 이미 닦여진 자신의 실력을 한계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었지만 막 입문한 라이더들에게는 아무리 좋은 프레임도 일반적인 프레임들과 다를 바 없었기 때문이다.
막 입문한 라이더들에겐 그저 작아서 다루기 쉽고 저렴한 프레임이 가장 이상적이다. 트라이얼을 제대로 이해하기 전까지는 프레임을 많이 교체하게 되는데 이는 기술구사시 힘 조절의 미숙으로 생기는 프레임의 균열로 인한 것이 많고, 자신의 몸에 맞지 않는 등의 이유도 있다. 그래서 처음부터 고가의 트라이얼 전용 프레임을 구입했는데 이같은 이유로 속을 썩이면 낭패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기본 기술을 익힌 후 자신의 실력과 취향을 파악한 후 트라이얼 전용 프레임을 구입해도 늦지않기 때문에 초보라이더들에게는 작은 사이즈의 프레임과 제동력이 좋은 브레이크, 보호장구 등 가장 기본적인 장비로 트라이얼을 시작하라고 권한다. 부담없이 트라이얼을 시작하고 실력을 빨리 키울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적정 공기압 설정[펌글] (0) | 2005.10.13 |
---|---|
자전거 셋팅법, 페달링 방법, 휴식과 페이스 유지[펌글] (0) | 2005.10.13 |
[스크랩] 크랭크를 박박~~닦자. (0) | 2005.10.13 |
[스크랩] 허브( 앞) 정검 및 베어링 교체.... (0) | 2005.10.13 |
[스크랩] 싯포스트 소음제거 및 정비.... (0) | 200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