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강남 6개성과 강북 7개성의 전반적인 지형 지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주 나오는 지명들**
1. 하남성
개봉(開封) ; 옛날에는 변경( 京), 대량(大粱), 변량( 粱)이라고 불렀다. 황하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대의 4왕조와 북송의 수도였다. 하남 대평야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교통, 상업의 중심지이고, 용정(龍井), 상국사(相國寺), 주선진(朱仙鎭) 등 명승지가 많이 있다.
낙양(洛陽) ; 주나라때는 낙읍(洛邑)이라 불렀고, 동한의 고도이며 중국의 오대고도중의 하나다. 동으로는 호로(葫虜)를 장악했고, 서쪽으론 함곡(函谷)을 봉쇄하고, 남으로는 이락(伊洛)과 접하였고 북쪽에는 대강 황하가 유구하게 흐르고 있어 지형이 험준하고 견고하여 옛부터 전쟁이 터지면 병가(兵家)들이 서로 다투는 곳이었다.
백마사(白馬寺) ; 중국 최초의 불사(佛寺). 그 유적은 하남성 낙양의 교외에 있다. 후한의 명제(明帝)가 사자를 서역에 보내어 불도를 구하게 했는데 그들은 대월지국(大月支國)에서 중인도(中印度)의 불상경전을 말에 싣고 낙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8년 후에 이곳에 절을 세우고 백마사라고 하였으며 스승들을 초빙하여 역경에 종사하였다고 한다. 백마사에는 13층 석탑이 유명하다.
2. 하북성
북평(北平) ; 화, 만, 몽(華滿蒙)의 지장점(指掌點)에 있는 군사요지로서 멀리 전국시대의 연(燕)이래 요, 금, 원, 명, 청의 중국 역대의 고도이며 성내외에 많은 상점이 모여 번화하다. 성내외에는 경산(景山), 만수산, 옥천산(玉泉山)등의 전망이 좋은 산이 있고 성내에는 습찰해(습刹海), 북해, 중해, 남해, 하화지(荷花池)등의 못이 있다. 천연의 고도인 이곳은 명승고적이 많다
산해관(山海關) ; 하북성 동북경계, 장성의 동쪽 끝에 있는 도시. 옛 이름은 유관(楡關)이다. 화북(華北), 동부 왕래의 요충지이다. 바다에 임하고 있어 형세가 견고하여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이라 칭한다.
3. 절강성
귀주(귀州) ; 절강성 남서부 전당강의 상류지방에 있는 도시. 시가는 전당강의 상류 귀항(귀港)에 연하고 수,륙교통의 중심지로 상업이 성하다
보타산(普陀山) ; 절강성 주산열도(舟山列島)에 있는 불교의 영지. 범명은 보타락가(補陀洛伽). 중국명은 소백화(小白華), 매잠산(梅岑山). 관음보살의 영지로 풍경이 좋고 산 모양이 8각이다. 사천 아미산. 산서 오대산. 안휘 구화산과 더불어 불교의 사대 명산중의 하나이다. 보제사(普濟寺), 법우사(法雨寺), 혜제사(慧濟寺) 등이 있으며 조음동(調音洞)이 유명하다.
서호(西湖) ; 절강성 항주에 있는 호수. 서자호(西子湖)라고도 한다. 예 서적에는 명성호(明聖湖), 전당호(錢塘湖), 상호(上湖) 등으로 불린다. 당이후 이미 세상에 알려졌으며 송대에 와서 특히 유명하여 졌다.
안탕산(雁蕩山) ; 절강성의 가장 남단에 있는 산. 남안탕산과 북안탕산으로 나위며 남안탕산은 평양(平陽)현, 북안탕산은 낙청(樂淸)현에 위치한다. 고래의 명산으로 기봉(奇峯)과 폭포, 동부(洞府)가 많아 삼절(三絶)이라 불리우며 구름이 짙고 산의 높은 곳에는 호(湖), 낮은 곳에는 깊은 담(潭)이 많다. 환상만태한 곳으로 이름이 높다.
용정(龍井) ; 절강성 항주의 서남쪽, 풍황령(風篁嶺) 밑에 있는 도시. 용홍(龍泓)이라고도 한다. 이곳에서 나는 용정차는 천하에 유명하며 진짜는 구하기가 힘이 들다고 한다.
4.감숙성
감주(甘州) ; 감숙성의 북서부에 있는 도시. 성내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곳으로 감숙, 신강성간의 관로 연변에 따라서 발달되었으며 상업이 번창하다. 명승고적 가운데 굉인사(宏仁寺)라고 부르는 큰 절은 유명하다.
기련산(祁連山) ; 일명 남산(南山)이라고도 불리우는 천하의 명산이다. 위치는 감숙성 장액(張掖)현 서남방에서 시작하여 청해성 성계(省界)까지 뻗쳐 산맥의 길이는 수천리나 되며 서쪽으로는 아이금산(阿爾金山) 산맥과 연결되어 있다.
옥문관(玉門關) ; 무제시대에 만들어진 관. 서역의 옥(玉)이 여기를 통해서 한나라에 들어왔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졌다. 돈황의 서북 80킬로 되는 곳에 있다. 양관과 함께 서역으로 통하는 문호로서, 옥문관을 지나면 북도(北道)로, 양관을 지나면 남도(南道)로 통하였다. 육조시대에 들어가서 동쪽의 안서(安西)로 옮겨졌다
5. 운남성
곤명(昆明) ; 운남성의 저명한 도시. 전지( 池) 북안. 옥석과 구리의 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리(大理) ; 운남성 서부의 현. 옛이름은 태화(太和). 월남과 미얀마의 공로이며 대리석의 산출로 유명하다. 창산(倉山), 이해( 海)등의 명승지가 많다.
애뇌산(哀牢山) ; 애뇌산은 운남성에 위치한 절산이다. 산세는 험악하여 계곡은 깊고, 봉우리는 하늘을 찌를 듯이 높았다. 사시사철 밤낮없이 구름과 안개에 덮혀있는 봉우리는 그 전모를 눈으로 불 수가 없었으며,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천길 절벽 사이에는 마치 지옥의 입구처럼 험함 골짜기가 입을 딱 벌리고 있었다
6.섬서성
낙수(洛水) ; 섬서성의 중부에 있는 강. 정변(定邊)현의 백어산(白於山), 동성의 서북으로 발원하여 황하로 흘러간다.
유림(楡林) ; 섬서성의 북부에 있는 도시. 본래 한나라의 구자(龜滋)현 및 수나라 초기의 정덕진(靜德鎭)이었고 명나라때에 유림채(儒林寀)를 두었는데, 그것을 다시 유림위(楡林衛)로 고치고 청나라때 부와 현을 두었다. 산물은 보잘것이 없고 토량도 각박하고 기후까지 한랭하고 우량도 적다. 주로 모피의 집산만이 성하다.
7.사천성
검각(劍閣) ; 사천성 검각현에 있는 요지. 섬서, 사천 사이를 통하는 관도상에 있다. 검문산을 넘기 위해 산골짜기에 높이 건너질러 놓은 다리로 대검산과 소검산 사이의 잔도이다. 삼국시대 제갈량이 이를 설치하고 위와 싸웠다. 당대 이후에는 여기에 검문관(劍門關)을 설치하였다. 험난한 촉도(蜀道)중에서도 최고의 험지로 알려져 있다.
대파산(大巴山) ; 사천, 섬서의 성경계를 서북 동남으로 달리는 산맥. 구룡산맥이라고도 한다. 미창산(米倉山), 대파산이 주요봉이며 한중분지의 북산면은 급하고, 남산면은 밋밋하다. 유명한 촉의 잔도가 이 산맥의 일부에 있다.
성도(成都) ; 사천성의 성도. 사천성의 서부, 성도분지의 남동부에 있으며 시기는 높이 9미터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촉한 유비의 황성, 제갈공명의 유허지(遺噓址; 자료집에는 휴허지) 외에 무담산, 만리교(萬里橋), 사마교(駟馬橋), 금관성(錦官城), 청양궁(靑羊宮) 등이 있다. 전설상의 땅이며 천지의 중심인 도광(都廣)이 성도라는 말이 있다. 면성(綿城)이라고도 하며 무후사(武候祠)가 있다.
8.호북성
무한(武漢) 요리 특산물 - 노통성두피(老通城豆皮), 열간면(熱干面), 량면(凉面), 사계미탕포(四季美湯包), 와관계탕(瓦罐鷄湯
9.호남성
형산(衡山) ; 남악(南嶽). 곽산(?山)이라고도 부른다. 호남성 형산현의 서북방 삼십리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합 칠십 이봉이 하늘을 찌를 듯 솟아 있다.
태산(泰山) ; 산동성 태안(泰安) 북방의 산. 대산(垈山), 대종(大宗)이라고도 한다. 오악중 동악으로 불리우며 제 일 명산이다. 높이는 일천오백사십오척. 칠십이봉중 제일봉은 장인봉(丈人峯)이며 옛부터 봉선(封禪)의 예가 행하여졌다. 묘우(廟宇)가 많고 본묘의 벽하궁(壁霞宮)은 굉장하고 화려하다.
11. 강소성
구산(龜山) ; 강소성 회음(淮陰)현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우임금 시절에 수괴 (水怪)인 무지기(無支祈)를 우임금의 부하인 경진(庚辰)이 이곳에서 잡아 목에 쇠사슬을 묵고 코에는 금방울을 달았다고 한다.
금산(金山) ; 강소성 진강 서북에 있다. 금산사가 있으며 강남의 명승지로 유명함.
봉황대(鳳凰臺) ; 유송(劉宋)시때에 한 사람이 금릉 서남쪽 산 위에 이상한 새들이 모여드는 것을 보고 봉황이라 부르며, 그 상서로움을 닮도록 산 위에 대를 마련하여 봉황대라 하였다.
12.복건성
무이산(武夷山) ; 복건성과 강서성 경계의 북쪽에 있는 산. 이 산을 중심으로 북동에서 남서로 뻗쳐있는 무이산맥을 형성하고 있 다. 산중에는 명승지가 많다. 또 죽림(竹林)이 무성하여 계류를 덮어 송나라때의 주자가 강의하던 문공서원(文公書院)이 있다. 동북지방에서 생산되는 차는 복건차로서 가장 질이 좋은 것이다. 이것은 무이차라고도 불리운다. 죽재와 말린 죽순도 많이 생산된다. 무이차를 일명 철관음(鐵灌音)이라 한다.
13. 청해성
십만대산 ; 십만대산은 천산 등으로 불리며 바로 청해성에 소재한 곤륜산을 말하는 것입니다. 곤륜산이 워낙커서 곤륜파만 소재하는게 아니라 마교 또한 곤륜산에 소재한다구 나오죠. 마교 발호함 제일먼저 개피보는곳이 곤륜파죠.ㅎ
** 구파일방의 위치 **
1. 소림사 - 하남성 등봉현 숭산 위치
2. 무당파 - 호북성 균현 무당산 위치
3. 화산파 - 섬서성 화음현 화산위치
4. 아미파 - 사천성 아미산 위치
5. 청성파 - 사천성 청성산 위치
6. 종남파 - 섬서성 남부의 종남산 위치
7. 공동파 - 감숙성 공동산 위치
8. 점창파 - 사천성 점창산 위치
9. 곤륜파 - 청해성 곤륜산 위치
10. 개방 - 하남 개봉성에 총타위치
** 5대세가의 위치 **
1. 사천당가- 사천성 성도
2. 하북팽가- 하북성 인근
3. 모용세가- 요녕성 부근 (뭐 절강성이라구 나오기도..)
4. 진주언가- 산서성[산동성] 부근
5. 남궁세가- 안휘성 부근
아.. 위 내용은 고무림의 검선지가님의 내용을 참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