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서적 《친환경 살림의 여왕》(비타북스), 《웰빙 식초 건강법》(청연)
부엌은 가족의 건강을 좌우하는 곳이니만큼 여름뿐만 아니라 1년 내내 신경을 써야 한다. 항균·살균 작용을 하는 식초를 활용해 깨끗한 주방 환경을 만들어 보자.
01 싱크대와 조리대
주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싱크대와 조리대는 음식물 얼룩뿐 아니라 물때에 쉽게 더러워진다. 크롬으로 도금한 싱크대의 얼룩이나 석회때는 소금 2큰술과 백식초 1큰술을 섞어 닦는다. 식초뿐 아니라 소금도 연마작용을 하기 때문에 더욱 깨끗해진다. 쉽게 제거되지 않는 수도꼭지의 물때는 식초수를 적신 키친타월로 수도꼭지를 둘둘 말아서 2~3시간 그대로 둔다. 좁은 틈에 낀 때는 칫솔로 문지른다. 식초는 조리대·도마 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다. 식초를 뿌린 후 헹구지 말고 그대로 두면 식초의 산 성분이 도마에 밴 냄새를 증발시킨다.
02 배수구와 음식물 찌꺼기통
조금만 청소를 게을리하면 악취가 나는 곳이 배수구다. 배수구에 베이킹소다 1컵을 부은 후 뜨겁게 데운 식초 1컵을 붓는다. 5분 후 다시 뜨거운 물을 붓는다. 이 과정을 3~4번 반복한다. 배수구 뚜껑과 물받이는 꺼내어 식초수를 분무기에 담아 뿌린 후 하룻밤 동안 말린다.
03 전자제품
식초는 전자제품을 청소할 때 전용 세정제보다 탁월한 세정효과를 발휘한다. 전자제품 겉면의 손자국은 1L의 물에 식초, 베이킹소다 각각 4분의 1컵을 녹인 용액으로 닦는다. 손자국이 사라지고 광택이 난다. 냉장고 안과 문 부분에 있는 고무 패킹의 찌든 때는 식초와 물을 1대 1 비율로 섞은 용액으로 닦는다. 전자레인지에 찌든 음식물 찌꺼기도 제거할 수 있다. 전자레인지 용기에 이 용액을 넣은 후 팔팔 끓을 때까지 전자레인지를 가동시킨다. 음식물 찌꺼기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열을 식힌 후 잔여물을 면 소재의 천으로 닦는다. 기름기 묻은 오븐기 그릴이나 오븐 문에 식초를 골고루 뿌리고 10~15분 지나 스펀지로 닦으면 깨끗해진다.
04 찻잔, 유리그릇
찻잔에 묻은 묵은 얼룩을 제거할 때 식초와 소금(또는 베이킹소다)을 이용한다. 소금과 식초를 같은 분량으로 섞은 용액을 스펀지나 솔에 묻혀 문지른 뒤 물로 헹군다. 식초의 산 성분은 유리 표면에 생기는 얼룩이나 기름때, 미네랄 침전물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설거지 후 마지막에 헹굴 때 뜨거운 물에 식초 2분의 1컵을 부은 물로 헹군다. 유리그릇을 소독할 땐 물로 막 헹군 그릇에 식초를 뿌린 뒤 뜨거운 물로 다시 한 번 살짝 헹군다. 단, 식초로 대리석 표면이나 금속 그릇, 페인트로 칠한 장식이 있는 무광택 도자기를 세척하면 안 된다. 또 식초를 시판 세제와 혼합하거나 세제가 들어 있는 용기에 식초를 부어 사용하면 유해가스가 발생해 매우 위험하다.
05 주전자, 커피메이커 등 주방용품
석회 침전물이 생긴 주전자에 식초를 담가 가열한 후 그대로 식힌다. 여과 장치가 있는 커피메이커의 기름때와 커피찌꺼기를 청소하려면 커피메이커에 식초를 채운 후 하루 동안 둔다. 도시락통에서 냄새가 날 땐 식초에 푹 적신 빵 1조각을 도시락에 넣고 뚜껑을 덮은 뒤 하루 동안 두면 냄새가 사라진다.
06 금속용품
알루미늄, 놋쇠, 구리 등 냄비나 그릇의 얼룩에는 식초와 물을 같은 비율로 섞어 넣고 끓이면 얼룩이 사라진다. 놋과 구리용기에 광택을 낼 때는 천으로 식초 1큰술, 토마토케첩 2큰술을 섞어 만든 혼합액이 마를 때까지 문지른다.
More Tip 벌레도 비켜!
음식물을 다루는 주방에는 개미나 여러 가지 벌레가 생기기 쉽다. 식초의 강한 산성 성분을 이용해 벌레를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자. 개미떼가 생길 때 현관 출입구나 창문틀, 전자제품 주위 또는 벌레가 들어오는 곳에 식초 원액을 뿌린다. 초파리가 생길 때 작은 접시에 식초 원액을 부어 필요한 장소에 놓는다. 냄새를 맡고 날아온 초파리들이 식초에 빠져 익사한다.
'지혜롭게 사는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커피·술…건강에 좋은 섭취량은 (0) | 2011.11.29 |
---|---|
때 아닌 ‘겨울 모기’ 기승…실내온도 낮춰라 (0) | 2011.11.29 |
친환경 세탁비법 大공개 (0) | 2011.11.29 |
상황별 내추럴 클리닝 노하우 (0) | 2011.11.29 |
식초로 세균·냄새 없는 무공해 집 만들기 (0) | 201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