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년 설은 송년회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시작된다. 오랫만에 만난 친지 등이 반갑지만, 술자리는 또 다시 부담스럽다. 특히 설에는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던 음주에 대한 ‘불편한 진실’이 있다. 어떤 것이 있는 지 알아봤다.
◇불편한 진실1 “안주 많이 먹어도 술은 간을 손상시켜”
20세기 중반까지도 술 자체보다도 마시는 사람의 영양상태가 간에 손상을 준다고 인식되었다. 안주가 마신 술을 중화시켜 간에 해가 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오산이라는 게 실험 결과 밝혀졌다.
술이 간을 손상시킨다는 것은 최근 들어서야 밝혀진 사실이다. 한 원숭이 실험에서 고단백 안주와 술을 2년 동안 먹였더니 원숭이가 간염을 거쳐 간경화증에 이르렀다. 따라서 설날 몸에 좋은 안주를 먹었다고 좋아할 일만은 아니다. 문제는 과음을 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나라 1일 적정음주량은 남성 5잔, 여성은 4잔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 권고에 의하면 위험음주 기준은 남성 1일 5잔(60g)이상, 여성 4.5잔 이상이다. 이 기준을 넘겨서 지속적으로 음주를 할 경우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불편한 진실2 “잡채나 전 보다는 대추나 밤 먹어야”
설날 대표음식인 갈비나 산적, 잡채, 튀김과 같은 기름진 음식들은 술자리에서 피해야 하는 음식 리스트다.
기름진 음식들은 열(熱)과 단(甘) 성질을 갖고 있는데, 술의 성질도 열(熱)하고 독(毒)하다. 이들은 술의 성질을 순화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배가시켜 소화에 부담을 준다. 이보다는 간세포의 재생을 돕는 단백질 함유 음식이나 과일류 등이 좋다. 두부요리, 계란요리 등이 해당된다. 짠 안주 역시 갈증을 일으켜 술을 더 많이 마시게 하므로 피해야 한다.
술 마시기 한 두 시간 전에 차례상에 올려 놓았던 떡국 한 그릇으로 배를 채우는 것도 방법이다. 떡국이 비어있는 위를 채워 위벽을 보호해 주며 떡국에 든 탄수화물이 쉽게 포만감을 안겨주기 때문에 음주량 역시 줄어들게 마련이다.
또 대추 밤 배 감은 각종 장기의 기능을 보강하고 알코올을 중화시키는 효능이 있어 술 안주로 적합하다. 특히 감의 타닌 성분은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켜 주며, 위장 속의 열독(熱毒)을 제거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소변을 순조롭게 해 술을 빨리 깨게 하는 효능도 있다.
◇불편한 진실3 “단주 실패하면 음주 습관 더 나빠져”
신년이 되면 세우는 계획 중 하나가 바로 ‘단주’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단주 방법 3가지는 다음과 같다.
“절주는 안 된다. 술을 아예 먹지 말아라”
“본인 의지가 부족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라”
“단주 실패가 추후 음주 습관에 결정적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단주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몸이 안좋아졌거나, 큰 병이 걸린 그런 사람을 보았거나 했을 때 비로소 술을 끊어야겠다고 결심을 한다. 이처럼 단주의 동기가 확실하면 술을 끊을 수 있다. 하지만 충동적으로 결심하는 경우 실패확률도 높다.
다사랑중앙한방병원 심재종 원장은 “단주 실패자가 재음주 시 음주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주를 실천하고자 한다면 본인의 굳은 결심 외에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세워야 성공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TIP가정에서 할 수 있는 단주법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단주법으로 ‘시간 쪼개기’를 해보자. 3일을 버텼다면, 3주, 3달 이런 식으로 단주를 하는 방식이다. 장기적인 계획 보다는 당장 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그것도 힘들다면 하루 24시간을 1~2시간 단위로 쪼개서 참아보는 것도 있다.
‘주종은 불가’다. 단주 종류를 도수가 높은 것에 한하고 맥주는 예외라고 계획을 세웠다가는 100% 실패다. 주량 또한 불가다. 무조건 안 먹어야만 끊을 수 있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참살이 삶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거른 오전엔 당분 많은 과일주스를 (0) | 2012.01.13 |
---|---|
"깻잎으로 고기 싸먹는 이유 있었네" (0) | 2012.01.12 |
실컷 먹어도 좋은 ‘1월 슈퍼푸드’ 6가지 (0) | 2012.01.10 |
음식과 영양…새로운 트렌드 5가지 (0) | 2012.01.10 |
사과와 탄산음료…치아에 더 나쁜 것은? (0) | 201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