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확보물로는 나무, 암각, 촉스톤등이 주로 이용된다.
확보물은 강한 추락의 충격으로 부터 충분히 견딜 만큼 튼튼해야 하는데, 과연 ’얼마나 튼튼해야 하는가?’의 답을 찾기는 매우 곤란한 문제이다. 그것은 등반상황에 따라 등반자의 판단과 느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과학적인 계산이나 측정기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 나무는 부러지거나 뿌리가 뽑힐 가능성을 점검하고 가급적 밑둥에 슬링을 두른다.
* 바위의 기둥, 암각, 촉스톤등을 이용할 때는 부스러지는 바위가 아닌가? 밑부분이 견고하게 안정되어 있는가?
등을 살핀다.
* 암각에 슬링을 두를때는 마찰로 인한 절단가능성, 벗겨질 위험성등을 점검하고, 설치한 슬링의 각도가 60°이하가 되게 한다.
* 벗겨질 위험성이 있는 슬링에는 장비등을 이용하여 무게추를 달아둔다.
* 둥글게 걸쳐있는 촉스톤에 슬링을 두를 대는 한쪽슬링을 꼬아서 걸어줌으로써 한쪽슬 링이 촉스톤에서 빠져나와도 슬링이 카라비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 박혀있는 촉스톤은 거스히치매듭으로 슬링을 한쪽편으로 걸어줌으로써 회전력이 발생 하도록 한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
'산행 지식·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3 쐐기형 쵸크(Wedging Chocks) (0) | 2012.03.01 |
---|---|
7.2 인공확보물(Artificial Protection)의 종류 (0) | 2012.03.01 |
6.5 응용 기술 (0) | 2012.03.01 |
6.4 (틈새 끼우기 (Jamming) (0) | 2012.03.01 |
6.3 손쓰기 (Hand Hold의 사용)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