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보지점은 보통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두개이상의 확보물을 설치하고,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면 충격을 2개이상의 확보물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보물들을 연결하는 방법이 잘못되면 안전성이나 충격분산의 목적을 얻을 수 없게 되고, 때로는 설치한 확보물이 파괴되거나 오히려 발생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확보물에 전달될 수 있다.
* 균등연결법(Equalizing)
균등연결법은 2개이상의 확보물을 서로 연결할 때, 충격이 각 확보물에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슬링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보통 두개의 확보물을 연결할 때 각각의 확보물에 퀵드로나 슬링을 각각 걸면 2개중 어느 하나는 힘을 전혀 받지 않는 확보물이 되는 것이다.
2개의 확보물에 균등하게 힘이 전달되도록 하기위해 한개의 슬링으로 2개의 확보물을 연결한 다음, 두겹의 슬링에 단순히 걸기만 했다면 균등연결은 됐을지 몰라도 1개의 확보물이 파괴되었을 경우 카라비너를 속으로 빠져나와 버리는 위험한 일이 발생될 수 있다.
올바른 균등연결법은 한개의 긴 슬링을 각각의 확보물에 걸고 그 사이의 슬링2줄중 1줄을 한번 꼬아서 걸어주는 것이다. 이 방법은 양쪽 확보물간의 슬링길이가 유동적으로 변하여 균등하게 힘을 받을 수 있게하고, 만약 한개의 확보물이 파괴되었을 때에도 카라비너는 파괴되지 않은 다른 확보물과 슬링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3개의 확보물을 연결할 때도 이 균등연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직접 3개를 한개의 슬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고, 2개를 먼저 이퀄라이징한 다음에 또 다른 한개의 확보물과 2번째의 이퀄라이징을 하는 방법이 있다.
* 삼각연결법(Triangle Method)
충격을 분산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삼각연결법이 있다. 우리나라 기존루트의 확보지점에 설치된 슬링은 대부분 이와 같은 삼각연결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삼각연결법은 앞에서 설명한 균등연결법보다 더 큰 충격이 각각의 확보물에 전달된다.
그러나 두개의 확보물중 어느 한쪽이 파괴되더라도 2차 추락의 거리가 균등연결법보다도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 2차추락의 거리는 슬링의 길이와 두개의 확보물사이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① 충격분산 각도
2개이상의 확보물을 균등연결법에 의해 균등하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였다
하더라도 이 확보물들을 연결한 슬링의 각도에 따라 각 확보물에 전달되는 충격은
차이가 난다.
연결각도 | 2지점 균등연결 | 삼각연결법 |
0° 60° 90° 120° 140° 150° 160° 170° |
50% 60% 70% 100% 150% 190% 290% 580% |
70% 100% 130% 190% 290% 380% 570% 1100% |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
'산행 지식·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 확보물의 설치 간격 (0) | 2012.03.01 |
---|---|
8.1 선등의 세계 (0) | 2012.03.01 |
7.8 이중 확보물 설치 (0) | 2012.03.01 |
7.7 쐐기인자(wedging factor) (0) | 2012.03.01 |
7.6 확보물설치시 주의할 점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