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입맛은 맵고, 짜고, 단맛에 길들여져 있다.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을 알지만 끊기 어렵다. 맛도 중독되기 때문이다. 음식을 먹으면 혀의 미각세포들이 반응해 화학 세포를 대뇌 특정 부위에 전달하여 호르몬을 분비하도록 활성화한다. 단맛의 음식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쾌감을 증대하는 도파민을 분비하도록 촉진시킨다. 단맛이 가장 중독성이 강한 이유다. 중독된 이후에 단맛을 느끼지 못하면 불안, 우울, 손떨림, 두근거림 같은 다양한 정신적·신체적 조급증을 일으키고 금단현상에 시달리기도 한다.
짠맛 역시 한국인의 장류나 국물 음식을 즐기는 음식문화로 인해 중독되기 쉽다. 아이오와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평소보다 몸속 소금의 농도가 약해지면 마약을 끊을 때와 비슷한 금단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짠맛 중독이 위험한 이유는 몸속으로 흡수된 염분이 혈관이나 콩팥 같은 장기를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매운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의 일종으로 뇌에서 입과 혀에서 느끼는 통증을 보상하기 위해 행복감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엔도르핀을 다량 분비한다. 엔도르핀이 더 많이 분비되기를 원하게 되면서 점점 강한 매운맛에 집착하게 된다.
단맛, 짠맛, 그리고 매운맛의 음식이 활성화하는 뇌의 특정 부위는 마약을 투약하거나 담배를 피울 때 반응하는 뇌 부위와 같다. 중독으로 인한 내성이 강하다는 뜻이다. 이미 맛에 길들여진 사람은 동일한 용량으로는 전과 같은 쾌감을 느끼지 못하므로 더 많은 자극을 갈망하고 과잉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 먼저 자신의 입맛이 건강을 해치는 음식에 중독되었는지 자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뇌에 인식된 잘못된 입맛을 훈련과 통제를 통해 서서히 양을 줄여나가면서 고쳐나가야 한다. 하루에 습관적으로 물을 마시거나 음식이나 음료수를 먹고 난 뒤 이를 닦는 것도 입맛을 균형있게 만드는 좋은 방법이다.
/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pnh@chosun.com / 이성준 헬스조선 인턴기자
참고서적=잘못된 입맛이 내 몸을 망친다
'참살이 삶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운 맛 고추, 심장 건강 지켜준다 (0) | 2012.03.30 |
---|---|
영양탕? 삼계탕? No! 최고의 보양식은 바로 ‘이것’ (0) | 2012.03.30 |
놀라운 한국음식…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0) | 2012.03.28 |
커피 중독에서 벗어나는 9가지 방법 (0) | 2012.03.28 |
정력·폐 기능 Up!‥'신선의 음식'을 차로 마시자 (0) | 201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