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이 뼈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교수와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계형 교수,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이철민 교수팀은 간접흡연이 골다공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교수팀은 간접흡연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전국 규모의 대표성을 가진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흡연력이 없고,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지 않는 55세 이상 여성 925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 결과와 동거인의 흡연력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925명 중 현재 흡연하는 가족이 있는 그룹(143명)과 없는 그룹(782명)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흡연자 가족이 있는 그룹에서 고관절 골다공증 비율이 3.68배 더 높았고, 특히 그 가족이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인 경우에는 고관절 골다공증 위험이 4.35배, 척추 골다공증 위험은 5.4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수팀은 연구결과가 폐경 후 여성이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더라도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다면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짐을 입증한 것으로, 간접흡연이 골다공증의 중요한 위험 인자임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기헌 교수는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접흡연 노출을 줄여야 함을 보여주는 연구로 간접흡연을 규제하고 단속할 수 있는 정책적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흡연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처럼 의사의 도움과 약물치료로 훨씬 잘 관리되는 질환이므로 더 늦기 전에 금연 치료를 받아 흡연자 본인은 물론, 가족의 건강까지 지키길 권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골다공증 분야의 권위지인 `osteoporosis internatio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남도영 기자 namdo0@dt.co.kr
'건강한 삶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유 없는 손발저림, 혹시 병일까? (0) | 2012.08.20 |
---|---|
'뇌짱 노인' 첫 규명, 30년 젊은 뇌 비결은… (0) | 2012.08.20 |
변비, 어떻게 해결해야 안전할까? (0) | 2012.08.20 |
여름철 잠 안올때 여기 꾹 눌렀더니 '대박이네' (0) | 2012.08.15 |
아스피린 장기복용, 암 사망위험↓ (0) | 201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