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연하곤란 치료는 인두와 후두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여러 가지 물리요법이나 음식물 조절, 자세교정 등이 시행되어 왔으나, 최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백남종 교수팀의 연구로 비침습 뇌 전기 자극이 뇌졸중 이후 발생하는 연하곤란 치료에 큰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은 뇌 전기 자극의 연하 곤란 치료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뇌졸중 이후 혀의 움직임이 감소, 식사 시 기침 등 연하곤란 증상이 있는 환자 16명을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열흘간 연하 곤란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군은 뇌졸중이 발생한 부위 뇌 피질에 20분간 뇌 자극을 하면서 연하치료를 받고, 대조군은 뇌 자극을 끈 상태에서 연하 치료만 받게 한 후 실험 전, 실험 직후, 3개월 이후 삼킴 기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침습 뇌 전기 자극이 연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3개월 이후 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연하 기능이 현격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치료가 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실험 전 후 PET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그 결과 전기 자극을 받은 부위 뿐 아니라 손상이 없는 반대편 정상 뇌에서 포도당 대사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전기 자극이 연하기능의 회복에 관계된 피질 신경망 전반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하 기능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비침습 뇌 전기 자극이 뇌졸중 이후 연하곤란 환자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증명했다”며 “앞으로 전기 자극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치료 효과를 최대화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사진-조선일보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