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거나 삶는 음식과 달리 굽는 음식만이 갖는 묘한 끌림이 있습니다. 우선 때깔부터 구미를 자극합니다. 생선이나 감자, 고구마가 노릇하게 굽힌 걸 보면 절로 군침이 돕니다. 육류를 즐기는 사람은 고기가 불판 위에서 굽히는 걸 보며 먹을 때가 되었음을 알아차리고 서둘러 술잔부터 채우지요. 그야말로 피해 가기 어려운 고량진미의 유혹입니다. 음식이 타면서 풍기는 냄새는 또 어떻습니까. 굳이 때깔이 아니더라도 졸여지다가 마침내 타들어가면서 풍기는 냄새는 이상하게 회를 동하게 하지요. 거의 모든 조리에 불을 사용했던 우리의 이런 음식문화 때문에 탄 음식에 길들여지지 않을 도리가 없었겠지요.
그런데, 그 탄 음식이 문제입니다. 육류 등 동물성 식품은 타면서 여러 가지 성분이 변질돼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벤조피렌, 다이옥신 등 유해한 독성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이런 물질들은 세계보건기구에서 벌써 발암물질로 지정했으니 피해야 하는 건 당연한데, 더러는 이런 상태를 즐기기도 하니 입맛을 위해 건강을 외면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타서 문제가 되는 게 육류만은 아닙니다. 지방과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생선류는 물론 감자, 고구마 등도 태우면 고유의 성질이 변해 비슷하게 유해한 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식용유나 올리브유를 끓여서 튀겨낸 음식이나 가열해 만드는 견과류 볶음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많은 의사들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위암이 많은 것을 두고 짜게 먹는 식습관과 함께 꼽는 것이 바로 탄 음식임을 감안하면 결코 소홀히 지나칠 문제가 아닙니다. 물론 한두 번 탄 음식을 먹는다고 당장 문제가 되는 건 아니지만 타거나 졸인 음식에 길들여지면 어디 음식이라는 게 한두 번 먹다 말기가 쉬운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특히나 음식이 타면서 만들어 내는 수많은 유독 화학성분들이 바로 쓰레기 소각장에서 내뿜는 유독물질들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안다면 생각이 좀 달라질까요. 그래서 굽는 삼겹살보다 삶는 수육이 몸에 훨씬 이롭다는 것인데, 어차피 입맛이란 길들여지는 것인 만큼 작심하고 식성을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jeshim@seoul.co.kr
'참살이 삶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푸드”하면 빠지지 않는 절대음식 5가지 (0) | 2013.08.22 |
---|---|
커피의 장점 5, 단점 2가지...핵심은 ‘적당량’ (0) | 2013.08.22 |
“비아그라 저리 가라” 정력 음식 5가지 (0) | 2013.08.15 |
생선 자주 먹으면 류마티스 관절염도 예방 (0) | 2013.08.15 |
요즘 같은 날, 식중독 막아주는 음식 6가지 (0) | 201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