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세먼지와 건조한 겨울철 날씨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콜레스테롤이 높은 여성은 안구건조증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끈다.
서울성모병원 안과 나경선 교수팀이 2010년부터 2011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19세 이상 5627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성 2408명 중 5.1%(116명), 여성 3,219명 중 14.8%(415명)이 안구건조증이었다. 특히 콜레스테롤이 높은 여성 그룹(총 콜레스테롤≥200mg/dL)은 일반인에 비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위험이 1.8배 높았다.
더불어 심혈관계에서 유익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 콜레스테롤이, 안구건조증의 발병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확인됐다. HDL이 낮은 여성 환자 그룹(HDL<40mg/dL)이 안구건조증일 가능성이 높게 나왔고, HDL 콜레스테롤이 낮으면 안구건조증 발생률이 낮게 나왔다.
이 연구와 관련해, 연구진은 아시아인의 안구건조증 원인 중 70~80%를 차지하는 마이봄샘 질환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마이봄샘이란 눈꺼풀에 존재하는 일종의 피지샘으로 안구표면에 기름 성분을 분비해 눈물의 과도한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한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증가하면 마이봄샘을 막아 눈물이 과하게 증발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생기는 것이다.
나경선 교수는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인 이상지질혈증과 안구건조증와의 관련성을 국내에서 처음 밝힌 이번 연구"라며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혈중 지질 관리와 더불어 안과 검사를 받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 교수는 “가벼운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려면 겨울철 난방 시 충분한 습도를 유지하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중간에 휴식을 취하고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박거리거나 잠깐이라도 눈을 지그시 감아 눈물을 적셔주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며 “안구건조증도 조기발견이 중요하고 만성 염증이 있는 줄도 모른 채 눈이 쉽게 피로하고 자주 뻑뻑해진다는 이유로 인공눈물만 보충할 경우 증상이 악화돼 각막염과 시력저하까지 초래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하면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고 강조했다.
/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kkw@chosun.com
'건강한 삶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후에 냉수는 금물, 심장마비 대처 (0) | 2014.02.04 |
---|---|
뇌도 쉬어야.. 집중력을 높이는 뇌 휴식법 (0) | 2013.12.25 |
알면 유용한… 과식 습관을 바꾸는 방법 9가지 (0) | 2013.12.25 |
파티서 과식 막는 노하우 6가지 (0) | 2013.12.25 |
뇌수막염, '3대 세균(Hib·폐렴구균·수막구균)' 백신 모두 맞아야 안전 (0) | 201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