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발바닥을 손으로 주무르는 사람은 병 없이 오래살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발에는 우리 몸 곳곳과 연계돼 있는 반사구역이 있다. 이 반사구역을 자극하면 해당 장기의 기능이 활발해진다.
발을 주물러 유연하게 해주면 목과 어깨, 무릎 등 온몸의 뼈마디들이 다 유연해져서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흔히 40대가 지나면 발목이 꼿꼿해지고 발가락이 잘 움직이지 않아 동작이 느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발주무르기를 꾸준히 하면 발목뿐만 아니라 온몸의 뼈마디들이 유연해지고 몸이 가벼워져 덩달아 동작이 빨라진다. 발을 주무를 때는 의자에 앉아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발가락 부분을 잡고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이어 한쪽 발뒤꿈치로 다른 쪽 발바닥 가운데를 여러 번 비빈다.
발바닥은 피부가 두껍기 때문에 주무르기보다 강한 자극을 주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발바닥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 몸의 균형이 바로잡히고 머리, 목, 잔등과 허리의 기능이 좋아지면서 혈액순환도 잘 된다. 빈병 굴리기, 고무돌기 밟기, 자갈 밟기, 모래 밟기 등 스스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압법이 있다. 빈병 굴리기는 의자에 걸터앉아 몸을 앞으로 약간 내밀고 두 팔로 의자의 가장자리를 잡은 뒤 몸의 균형을 조절하면서 양쪽 발바닥 가운데로 빈병 두 개를 굴리는 방법이다. 발바닥 중심에 병이 닿을 때 몸무게가 발에 실리도록 하여 발바닥에 세게 자극을 주는데 30초씩 3회 이상 하는 게 좋다. 주위에 도구가 없다면 신발을 벗고 모래 위를 걷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걷기는 특별한 기구와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발바닥을 자극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발가락 쪽 발바닥 3분의1 지점에는 용천혈이 있는데 생명의 샘이 솟아나듯 이곳을 자극하면 몸과 마음이 젊어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신피로 회복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엄지발가락을 자극하거나 주무르면 정신이 안정되고 불안감이 사라지면서 잠이 잘 온다.
"걷기운동은 허리·가슴 펴고 1000m 10~15분 안팎에"
북한에 있을 때 부모님께서 항상 하시던 말씀이 있다. “발바닥 밑에 건강이 있다” 많이 걸으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뜻이다.
북한은 한국처럼 교통수단이 많이 발달되지 못해 4~12㎞쯤은 걷는 게 보통이다. 자라온 환경이 그랬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가끔은 너무 고달프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았다. 그럴 때마다 발바닥 밑에 건강이 있으니 이렇게 걸으면 보약을 먹지 않아도 건강해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참고 걷고는 했다. 한국에 오니 걷기는 더 이상 ‘생활’이 아니라 ‘운동’이었다. 하지만 무작정 많이 걷는다고 건강에 이로운 것은 절대 아니다. 누구나 많이 걸으면 발과 다리가 붓고 몸에 심한 피로감이 몰려오는 것을 느껴봤을 텐데, 이는 걷는 과정에서 발생한 노폐물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몸에 들어차 생기는 증상이다. 이럴 때 발을 찬물로 씻으면 찬 기운이 마음을 진정시키고 혈관을 자극해 발에 몰려 있던 피를 잘 흐르게 한다.
발 건강에서 중요한 것은 무리한 걷기가 아니라 적당한 걷기와 올바른 자세다. 허리와 가슴을 쭉 펴고 발끝에 힘을 주고 뒤꿈치를 살짝 들어 올리면서 걷는 게 좋다. 그래야 걸을 때도 허리가 곧게 펴진다. 허리를 곧게 펴고 걸으면 허리·등 근육이 바르게 되고 걷고 난 후의 피로도가 훨씬 줄게 된다. 걷는 속도는 좀 빠른 게 좋다. 빠를수록 영양물질과 산소가 뇌로 더 잘 공급되기 때문이다. 혼자 산책하며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면 복잡했던 머릿속이 잘 정리되는 것도 이런 원리다. 북한에서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걷는 속도를 나이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1000m를 30대는 10분, 40대 12분, 50대 이상은 15분 내외로 걷는 게 적당하다고 권고한다. 걷기 운동은 아침에 하는 게 가장 좋고, 저녁에 할 때는 잠들기 1~2시간 전에 끝내는 것이 좋다. 또 하루에 몰아서 걷는 것보다 하루 1시간, 일주일에 3~4일 정도 꾸준히 걸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건강한 삶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만 잘 씻어도 감염병 70%예방 / 소변보기 힘들다면 전립선비대증 (0) | 2014.06.17 |
---|---|
식욕이 떨어질 때 그리고 구토물에 피가 섞여 나오면 (0) | 2014.06.09 |
화상, 얼마나 빨리 식히느냐가 관건… 찬물은 o, 된장은 x (0) | 2014.06.09 |
장시간 운전 때 백내장 조심하세요 (0) | 2014.06.09 |
여름철 식중독 예방법 (0) | 201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