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 헬스

로봇 이용한 인공관절수술 세계 최다, 정확도 100% 육박

힉스_길메들 2016. 4. 20. 08:37


특성화병원 로봇수술 전문 이춘택병원


"환자 상태를 컴퓨터로 분석
가상 수술한 뒤 로봇수술
절개 부위 작아 빨리 회복"

의술이 첨단화하면서 생긴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로봇의 등장이다. 21세기 들어 외과 영역을 중심으로 조금씩 도입되기 시작했다. 미세하고 정교한 의료 분야에서 과연 로봇이 의사의 손을 완벽하게 대신할 수 있을까. 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하지만 일찌감치 관절수술에 로봇을 도입해 논란을 불식시킨 곳이 있다. 이춘택병원은 최소침습수술 추세에 맞게 로봇을 최적화해 모든 수술 지표를 끌어올렸다. ‘로봇수술 건수 세계 최다, 100%에 가까운 수술 정확도’라는 신화를 썼다. 이춘택병원은 윤성환 2대 원장이 이런 신화를 이어가고 있다.
 

이춘택병원 윤성환 원장이 병원 내 로봇관절연구소에 별도로 마련된 로봇을 통해 인공관절수술 정확도를 높이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조상희



이춘택병원이 로봇수술을 가장 처음 적용한 것은 인공관절수술이다. 퇴행성관절염 말기로 진행된 환자가 받는 수술이다. 연골이 완전히 닳아 없어진 환자에게는 유일한 대안이다. 환자의 무릎관절을 깎아낸 뒤 기존 관절을 대체할 인공관절을 끼워넣는다.

인공관절수술에서는 정확도가 생명이다. 관절이 이루는 미세한 각도를 제대로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발목관절과 무릎관절, 무릎관절과 고관절로 이어지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관건이다. 3도·7도처럼 눈으로는 가늠하기 힘든 각도다. 의사의 수술 실력이 판가름나는 영역이다.

이 각도가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무릎 인공관절의 한쪽 부분이 중점적으로 닳는다. 결국 인공관절의 수명이 줄어들고 환자의 삶의 질이 떨어진다.

로봇 인공관절수술은 이 작은 차이를 완벽하게 잡아낸다. 윤성환 원장은 “로봇수술은 환자의 상태를 컴퓨터에 반영해 정확하게 계산된 데이터로 가상에서 수술해 본 뒤 적용하는 방식”이라며 “로봇수술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수술법”이라고 말했다.

인공관절 수명 5년 연장

이 병원은 수술 기준을 모조리 바꿨다. 18㎝는 째야 했던 절개 크기를 10㎝로 줄였다. 절개 크기가 작을수록 감염률이 낮고 회복시간이 단축된다. 환자는 수술 당일 걸을 수 있다. 수술 시간은 90분에서 50분으로 짧아졌다. 인공관절수술의 관건인 축을 맞추는 정확도는 70%에서 100% 가깝게 완벽해졌다. 정확도가 높아지니 인공관절 사용 기간도 평균 5년이나 늘었다. 20%에 달하는 재수술률을 1%로 낮췄다. 윤 원장은 “로봇수술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춘택병원은 로봇수술 적용 분야를 넓혔다. 작년부터 휜다리교정술에도 로봇을 적용한 것이다. 다리가 안쪽으로 휜 ‘O자형 다리’는 안쪽 무릎에 체중이 실리게 된다. 체중의 60% 이상을 안쪽 무릎이 감당해야 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무릎 연골이 더 빨리 닳게 돼 퇴행성관절염이 악화한다.

휜 다리 교정에도 로봇 이용

휜다리교정술은 초·중기 퇴행성 관절염이 악화하는 것을 막고 진행 속도를 늦추는 유일한 방법이다. 무릎 안쪽 뼈를 조금 잘라내고 각도를 벌린 뒤 다리 축을 일(1)자로 맞추고 빈 공간에 인공뼈를 채워 고정하는 수술이다. 다리를 일자형으로 곧게 폄으로써 부분적으로 연골이 닳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무릎뼈를 정밀하게 잘라내기 어렵고 혈관·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위험 때문에 많이 이뤄지지 않던 수술이다. 윤 원장은 세계 최초로 휜다리교정술에 로봇을 도입해 기존의 단점을 해결했다. 로봇 휜다리교정술은 해외 학회에서도 러브콜을 받는다.

윤 원장은 “휜다리교정술은 기능과 미용 두 가지 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수술”이라며 “바늘만 한 미세한 로봇 커터를 이용해 안전하고 확실하게 교정한다”고 말했다.

DA 300


윤 원장은 기존의 로봇수술을 계속 진화시키고 있다. 아예 독자적인 로봇 개발도 추진 중이다. 한국인 체형에 맞게 최선의 수술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다. 윤 원장은 “몇 년 전부터 아예 새로운 다관절 만능로봇을 개발 중이다. 현재 설계·생산·판매까지 모든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올해 안에 차세대 로봇을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성환 신임 원장
2015년 10월 2대 원장으로 취임해 이춘택병원을 이끌고 있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세브란스병원에서 정형외과 수련을 받았다. 주요 진료 분야는 무릎관절 및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이다. 2007년부터 이춘택병원에서 진료팀장을 맡으면서 로봇 인공관절 수술 1만1300건을 달성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로봇 인공관절수술 1만 건은 세계 최다 수치다. 로봇인공관절수술 분야에서 독보적임을 말해 준다.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