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과 썰물에 대한것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즉 달과 태양이 지구와 일직선상에 놓이면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커져 달 쪽을 향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밀물(만조)이 되며,
또한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돌때의 원심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올라 만조가 된다.
반대로 태양과 지구와 달이 직각을 이룰 때는 바닷물이 줄어들게 되어 썰물(간조)이 되는 것이다.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2번 일어난다.
이는 지구가 하루에 1번 자전하는 동안 한 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 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밀물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매일 달라진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을 하지만 달은 하루에 약 13。씩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한 바퀴 돌아 제자리에 오면 달은 13。만큼 움직여 있으므로 지구가 이만큼 움직이는데 약 5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24시간 50분 간격으로 일어나며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반으로 나누면 12시간 25분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난다.
이렇게 12시간이 아니고 12시간 25분이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은 매번 25분씩, 매일 50분씩 늦춰지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며, 그 크기는 최대 약10m에 달한다.
태양도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미치나 달보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달보다 작다.
달은 음력 한 달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보름과 그믐에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 위에 있게 되는데 이때는 태양의 인력이 합쳐지면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가장 크게 되며 '사리'라고 한다.
한편 태양, 지구, 달이 직각으로 배열되는 상현과 하현에는 인력이 상쇄되어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작아지는데 이때를 '조금'이라고 한다.
서해는 동해나 남해에 비하여 바다가 육지 깊게 들어와 막혀 있는 형태이므로 밀물이 들어올 때 출구가 막혀 넘치는 현상에 의해 물높이가 더욱 높아지고, 썰물은 반대로 더욱 낮아지게 된다.
밀물과 썰물의 크기는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한 영향과 아울러 해안선 및 해저의 모양과 크기에 영향을 받는데, 만이나 해협등과 같이 막혀 있는 지형내의 바다에서는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커 그 크기가 15.2m나 되는 경우도 있으며 조류의 속도가 10노트나 될 때도 있다.
(1노트=시간당 1해리(1.852㎞)를 갈 수 있는 속도)
조석표는 각 지역에 대해 날짜별 고조(만조)와 저조(간조)의 시간 및 조위를 미리 예측하여 나타낸 표이며 사용방법으로 원하는 지역, 년도, 월을 선택한 후 그 날짜에 대한 고조 및 저조의 시간과 조위를 확인하면 됩니다.
고조는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온 때이며 고조 시간으로부터 물을 빠져나가게 되고 저조는 물이 가장 많이 빠진 때이며, 저조 시간으로부터 물이 다시 들어오는 때입니다. 조위의 단위는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센티미터(cm)로 표기하고, 시간은 24시간제를 사용하였습니다.
위 그림의 2일을 예로들면
- 15시 00분에 저조▼(간조)가 80cm이고 물이 다 빠졌을때의 시각과 조위를 표시합니다.
- 21시 25분에 고조▲(만조)는 328cm이고 물이 다 들어왔을때의 시각과 조위를 표시합니다.
저조에서 만조 간격은 대략 6시간 12분 정도입니다. 조위의 기준면은 그 항만의 약최저저조면으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는 해도의 기본수준면과 일치합니다.
조석자동응답시스템(ARS) : 1588-9822
'간직하고픈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국립공원[산] 단풍시기' (0) | 2010.10.15 |
---|---|
공무원 직급표와 조선시대 품계 (0) | 2010.09.20 |
전세금반환을 독촉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0) | 2010.08.23 |
'삼복(三伏)'의 날짜 계산법 (0) | 2010.07.28 |
야생화 (0) | 201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