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사회는 몸무게에 대한 관심이 많다. |
|
그러나 몸무게는 건강을 재는 하나의 척도에 불과하며 우리의 몸매나 신체 사이즈와는 상관없이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몸매나 몸무게에는 유전적인 영향이 크므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세계적인 운동선수나 슈퍼모델 같은 몸매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 몸을 잘 연마해서 건강과 자존감을 극대화하는 것을 배울 수는 있다. |
|
정상체중인지를 판단할 때 많이 사용하는 것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이다. 이것은 몸무게(㎏)를 키의 제곱 (㎡)으로 나눈 것이다. 키가 175cm이고 몸무게가 72kg 인 사람의 경우 체질량 지수는 7 2 ÷ ( 1 . 7 5 × 1.75)=23.5.... 로 약 23.5이다.
정상 체질량지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18.5부터 23까지이며 23~25는 과체중, 25이상은 비만, 18.5미만은 저체중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는 체내의 총 지방을 측정함에 있어서 체질량지수는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건강은 단순히 체중 이상의 것이다.
|
건강은 아래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
|
|
체중 감량 계획을 세울 때는 먼저 자신의 목표, 기대, 생활습관 등을 바꿀 결심을 해야 한다. |
|
|
|
|
규칙적인 신체 운동은 스스로 더욱 강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느낌을 받게 하며, 건강 전반을 향상시킨다. 신체 운동은 운동할 때는 물론이고 운동할 때 외에도 칼로리 소모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 한다면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쉬울 것이고 또한 운동을 하면 몸의 근육량이 증가하여 더욱 건강해진다.
|
|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사람은 과식하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간식을 즐기는 사람보다 정상 몸무게를 유지하기가 쉽다. 식사 습관을 개선하고 몸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어떻게 먹을 것인가를 계획하는 데에 조금 더 시간을 할애한다. 식사를 거르는 것은 공복감을 증가시켜서 다음 식사 때 과식하거나 영양가가 적은 간식을 찾는 원인이 된다.
|
|
지방함량이 적고 영양이 풍부한 여러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칼로리를 따지기 보다는 얼마나 많은 과일과 야채를 먹었는지 생각해보자.
|
|
몸무게를 조절하면서 좋아하는 음식을 끊을 필요는 없으며 중요한 것은 얼마나 섭취하고 얼마나 에너지를 소비하느냐 이다.
|
|
'건강한 삶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철 탈모극복 6가지 수칙 제시 (0) | 2011.03.05 |
---|---|
가슴과 호흡기의 질환 - 천식 (0) | 2011.03.05 |
심장돌연사의 원인과 예방법 (0) | 2011.03.03 |
심폐소생술 (0) | 2011.03.03 |
전립선 비대증 이대로 좋은가 (0)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