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 헬스

뼈 근육 관절의 문제 - 손목굴증후군 (수근관 증후군)

힉스_길메들 2011. 3. 5. 12:30

손목굴은 손목의 뼈와 인대 사이의 좁은 통로이다. 손의 손가락과 일부 근육의 감각신경을 관장하는 정중신경이 이 통로를 지난다. 손목굴증후군은 정중신경이 손목굴을 지날 때 압력을 받아 발생한다.

같은 손가락이나 손의 반복적인 사용이 손목굴 증후군의 원인이다. 다른 원인으로는 과체중, 손목의 건초에 발생한 낭인 결절종, 류마티스 관절염, 과거의 손목 손상, 임신, 당뇨, 갑상선 질환, 경구 피임약 복용 등이 있다. 정중 신경에 압력이 증가하면 다음과 같은 손목굴증후군의 증상을 일으킨다.

 

손가락의 감각저하나 저린 느낌(새끼 손가락은 제외)
 
손이나 손목을 사용할 때, 특히 물건을 잡거나 손목을 구부릴 때 더 심해지는 통증.
 
손에서 어깨쪽으로 팔에 나타나는 통증
 
물건을 쥐는 힘이 약해진다.

 

 예방

 

손가락, 손, 손목의 감각저하나 통증을 유발한다고 생각되는 활동은 모두 피한다. 특정한 움직임을 줄인 후 증상이 호전되었다면 서서히 그 움직임을 다시 시작해야 하며 되도록 손목을 곧게 펴도록 노력해야 한다.
   
물건을 쥘 때는 손가락으로만 하지 말고 손 전체를 사용한다. 
   
타이핑과 같은 반복적인 손의 동작은 속도와 힘을 줄인다.
   
반복적인 동작을 할 때에는 손을 교대하고 자세를 자주 바꾼다. 
   
자주 휴식을 가지고 손을 쉬게 한다.  
   
일할 때 저림이나 통증을 예방하기에 충분히 자세나 도구를 자주 바꿀 수 없을 때는 손가락, 손, 손목의 긴장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부목을 사용하도록 한다. 
   
자세에 신경을 써야한다. 타이핑을 할 때에는 손가락이 손목보다 낮아야 하며 팔을 몸 옆에 붙이고 어깨는 긴장을 풀도록 한다(손목 지지대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팔, 손, 손가락의 근육을 강하고 유연하게 하는것과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손목굴증후군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잘 붓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과다한 소금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스스로 돌보기

 

     위의 예방수칙을 따른다. 
     통증과 부종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을 복용한다. 
     손목의 손바닥쪽에 아이스 팩을 대준다.
     손을 베고 자는 것을 피한다. 손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밤에 손목 부목을 하는 것도 좋다.
     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과 손목의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한다. 통증이 있다면 운동을 멈춘다.
     살을 빼고 담배를 끊고 술을 줄이고 당뇨를 조절하는 등의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들이 부종과 관련된 손목굴증후군의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병원에 가야할 때

 

 손가락과 손의 저린 증상, 감각저하, 위약감이나 통증이 스스로 돌보기를 2주간 해도 좋아지지 않는다. 
손가락이나 손에 거의 감각이 없거나 감각이 없다. 
단순한 손의 움직임도 할 수 없는 경우나 원치 않게 물건을 떨어뜨린다.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집을 수 없거나 너무 약하다. 
엄지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다. 
손가락이나 손의 통증 때문에 일을 하는데 문제가 있다.
손목굴증후군 때문에 수술을 고려하는 경우 의사와 수술적 치료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면밀히 상담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