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집·멋집n요리

집에서 간단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봄나물 삼총사’

힉스_길메들 2011. 4. 22. 11:20

 

꽃샘추위와 봄비가 비로소 우리에게 봄이 왔음을 알린다. 봄이 오면서 춘곤증과 식욕부진을 벌써부터 걱정할 사람들을 위해 봄에 그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봄나물 세 가지와 나물로 해 먹을 수 있는 요리를 소개한다.

◆미나리
독특한 향으로 요리 맛을 살리는 향 채소다. 비타민, 칼슘, 철분을 함유해 혈액을 정화해주며, 해산물과 함께 먹으면 해독 작용을 해 식중독을 예방한다. 미나리를 다듬을 때는 밑동을 한 번에 잘라 잎을 쳐낸 뒤 놋수저와 함께 물에 담가 불순물이 빠지게 한다. 생으로 먹을 때는 물에 담갔다 요리한다. 미나리의 연한 줄기는 생으로 먹고 억세고 굵은 줄기는 전, 국, 찌개 등에 넣어 먹으면 된다.

-미나리해물전
미나리를 다듬어 씻어 10cm 길이로 자르고 홍고추를 반으로 갈라 씨를 털고 채썬다. 껍질 벗긴 오징어도 적당한 크기로 썰고 새우살과 홍합살은 옅은 소금물에 헹군다. 밀가루, 멥쌀가루, 달걀, 소금, 물 1과 1/2컵을 넣고 약간 되직하게 반죽한다. 반죽에 미나리, 채썬 홍고추를 넣는다. 기름을 두른 팬에 미나리를 가지런히 놓고 해물을 반죽에 버무려 얹은 후 앞뒤로 노릇하게 지진다.

-미나리오징어초회
색깔이 있는 파프리카는 씨와 속살을 제거한 뒤 6cm정도로 채썰고 무순은 물에 씻어 건진다. 미나리는 다듬어 씻은 후 소금을 넣은 끓는 물에 살짝 데치고 찬물에 헹군 뒤 물기를 뺀다. 껍질 벗긴 오징어는 끓는 물에 데쳐 6cm길이로 썬다. 오징어, 무순, 파프리카를 조금씩 잡고 미나리로 돌돌 만다. 유자청을 넣은 초고추장을 곁들어 찍어 먹는다.

◆취나물
취나물은 종류만 해도 70여 가지가 넘는 대표적인 산나물이다. 곰취는 쌈 싸먹기에 좋으며, 어린 참취 잎은 나물로 먹는다. 잎은 너무 크지 않고 단단해 보이고 탄력이 있는 것이 좋다. 혈액순환을 촉진해주고 만성기관지염, 요통, 두통에 효과적이다. 취나물을 다듬을 때는 뻣뻣한 줄기를 자르고 흐르는 물에 흔들어 씻는다.

-취나물볶음
다듬은 취나물을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살짝 데쳐 찬물에 헹군 뒤 면보에 올려 물기를 짠다. 나물을 데칠 때는 냄비 뚜껑을 열고 소금을 넣고 데쳐야 비타민C 파괴가 덜 되고 산화작용을 막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다. 데친 취나물에 맛국간장, 다진 파, 다진마늘, 깨소금, 들기름을 넣고 무친다. 팬에 양념한 취나물을 넣어 살짝 볶는다. 마지막에 들기름을 조금 더 넣는다.

-취나물밥
취나물을 씻어 소금 넣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헹군 뒤 물기를 짜 맛국간장으로 무친다. 물 한 컵에 치자를 반 잘라 넣어 노란 치자물을 만든다. 밥솥에 들기름을 두르고 불린 쌀을 넣어 달달 볶다가 치자물을 붓고 양념한 취나물을 얹어 밥을 짓는다. 나물밥은 나물에서 수분이 생기므로 보통 밥 지을 때보다 밥물을 적게 부어야 질지 않다.

◆쑥
쑥은 비타민A와 무기질 함유량이 높아 면역을 강화시켜 감기 예방에 좋다. 특히 떡에 쑥을 넣으면 떡의 산성화를 중화시키고 영양보완을 해준다. 잎이 너무 크지 않고 뒤쪽의 뽀얀 색이 도는 것이 탄력있고 향이 좋다. 다듬을 때는 밑둥의 억센 줄기를 잘라내고 진한 향이 나는 작은 잎은 그대로 둔다.

-쑥콩가루된장국
다듬은 쑥은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날콩가루에 버무린다. 냄비에 물을 붓고 다시마와 내장을 제거한 국물멸치를 넣어 줄불에서 끓인다. 육수를 낸 뒤 건더기를 건져내고 채 썬 무를 넣어 한소끔 끓인다. 된장을 풀고 쑥과 저민 홍고추를 넣어 잠깐 끓인다. 쑥은 오래 끓이면 질겨지고 향이 덜해지므로 살짝만 익힌다. 또한 쑥의 향이 강하기 때문에 마늘, 파 등은 넣지 않는다.

-쑥현미밥
찰현미는 물에 씻은 다음 30분간 불린다. 쑥은 씻어 물기를 빼놓고 큰 것은 먹기 좋게 썬다. 껍질 벗긴 완두콩은 물에 헹군다. 밥솥에 불린 쌀과 현미를 담고 완두콩을 얹어 1.2매의 물을 붓고 밥을 짓는다. 뜸이 들 때쯤 쑥을 넣고 뚜껑을 닫는다. 쑥현미밥을 할 때는 어리고 부드러운 쑥을 골라 맛과 향을 더 진하게 즐기도록 한다.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hj@chosun.com /참고서적=The Top 110 봄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