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pnh@chosun.com 이미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매운 음식을 먹으면 혀가 얼얼해져 입에다 부채질을 하거나 물을 먹는다. ‘맵다’는 것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이기 때문에 입 안이 자극을 받으면 우리 몸은 자극을 완화하려는 행동을 하게 된다. 팔, 다리가 아프면 손으로 주물러 아픈 증상을 낫게 하려는 본능이 생기는 것처럼, 입 안을 부채질하는 것도 일종의 본능적인 행동이며, 점점 학습화 돼 매운 맛을 보면 저절로 손이 움직여진다. 그렇다면 매운 기운을 가라앉혀주기 위해서는 어떤 음식을 먹어야 될까?
사람들은 물보다 우유를 먹으면 입 안의 매운 기운을 가라앉혀준다고 알고 있다. 차가운 우유는 입 안의 화끈거림을 가라앉혀주고 우유 속 단백질이 캡사이신(얼얼함과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감싸 더 이상 매운 맛을 못 내게 막아준다. 우유는 입 안의 매운 기운을 가라앉히지만 우유가 위에 내려갔을 때는 또 사정이 다르다.
/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pnh@chosun.com 이미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참살이 삶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을 위한 최선의 식단은 이런 것 (0) | 2012.01.30 |
---|---|
커피, 하루 몇 잔이 적당할까? 회의 때는‥ (0) | 2012.01.30 |
충치 예방하려면 치즈·토마토 먹어야? (0) | 2012.01.30 |
얼굴형에 따라 좋은 차 (0) | 2012.01.26 |
공복에 받은 건강검진, 이후 뭘 먹어야 (0) | 201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