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헥센트릭, 티톤, 트라이 캠과 같은 캐밍형 쵸크는 하중을 받을때 회전운동을 일으키도록 틈새내에 설치해야 한다. 전통적인 캐밍형 쵸크는 각각의 대변의 길이가 같은 균형잡힌 육각형으로서 고정된 크기의 틈새에만 설치할 수 있지만 취나드사의 헥센트릭은 대변의 길이가 달라서 다양한 범위의 틈새에 사용될 수 있다. 티톤이나 트라이 캠은 완전히 다른 형태로서 그 모양으로 인해 일정한 범위의 틈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 트라이 캠의 설치방법은 수직틈새에서는 캠의 곡면에 있는 홈 사이로 슬링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긴 다음 트라이 캠을 세운 형태로 설치하고, 수평 틈새에서는 직상할 경우 지레 받침점(fulcrum)을 아래쪽으로 하는 것이 좋고, 횡단이나 비스듬히 올라갈 경우 위쪽으로 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또한 좁은 틈새에서는 트라이 캠을 거꾸로 세워서 설치하면 캐밍작용만으로도 훌륭한 확보지점이 된다. 트라이 캠은 작은 구멍이나 나팔 틈새에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주의할 점은 캠의 곡면과 지레 받침점이 모두 바위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
'산행 지식·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 확보물설치시 주의할 점 (0) | 2012.03.01 |
---|---|
7.5 스프링 장착 확보물 (Spring-Loaded Camming Devices) (0) | 2012.03.01 |
7.3 쐐기형 쵸크(Wedging Chocks) (0) | 2012.03.01 |
7.2 인공확보물(Artificial Protection)의 종류 (0) | 2012.03.01 |
7.1 자연 확보물의 이용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