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런지 스텝 (Plunge Step)
설벽을 걸어 내려오는 방법으로 몸의 전면은 계곡쪽을 향하게 하고 발은 앞꿈치를 들어 사면에 뒷꿈치로 힘있게 내 딛는데, 이때 내딛는 다리는 곧게 편다. 몸은 너무 숙이지 말고 수직에 가깝게 몸의 중심을 잡는다. 단단해진 눈이나 급한 경사에서는 샤프트를 눈에 꽂으며 약간 웅크린 자세로 플런지 스텝을 응용한다.
글리세이딩 (Glissading)
글리세이딩은 숙달되기만 하면 설사면을 내려 오는데 있어 가장 빠르고, 쉽고, 재미있게 하산하는 방법이다. 사면의 경사도와 눈의 강도, 멈춤지점 및 활락 위험도등을 고려 하여 글리세이딩 기술의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시팅 글리세이딩 (Sitting Glissade) 엉덩이를 사면에 대고 그냥 앉아서 미끄러 진다. 부드러운 눈에서는 상체를 높이고 다리를 펴서 체중을 사면에 넓게 분산시킨다. 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는 상체를 세우고 무릅을 들고 발바닥을 사면에 붙인다. 사면에 얼음비늘이나 잔 돌맹이 등이 있을 경우 발바닥을 앞세워 가면 엉덩이 부상을 피할 수 있다. 속도를 줄일때는 픽켈의 스파이크를 사면에 누르고 발 뒤꿈치를 눈속에 파 묻는다. 그러나 급제동을 하면 앞으로 구를 수 있다. 방향전환은 픽켈의 스파이크를 이용하거나 적당한 몸놀림을 취한다. |
![]() |
스탠딩 글리세이딩 (Standing Glissade) 설사면의 상태와 자신의 능력이 허락된다면, 스탠딩 글리세이딩은 진행방향의 시야가 넓어 장애물을 재빨리 피할 수도 있고 옷을 적시거나 찢길 염려가 적어 좋은 글리세이딩 방법이다. 스키자세와 비슷하게 무릅을 구부리고 상체를 세워 팔을 벌린다. 다리는 모으거나 벌리는데, 전진방향쪽 발을 약간 앞으로 내밀어 안정된 자세를 취한다. 발을 모으고 몸을 숙이면 스피드가 붙고 몸을 세워 발뒤꿈치로 사면을 누르면 속도가 줄거나 정지한다. 방향전환은 스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깨.상체.무릅을 진행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
![]() |
크라우칭 글리세이딩 (Crouching Glissade) 스탠딩 글리세이딩과 거의 비슷하나 픽켈을 제동자세로 쥐고 뒤로 약간 기대어 사면에 스파이크를 박아 끌면서 내려 오는 자세이다. 속도를 스탠딩 글리세이딩에 비해 늦출 수 있고 삼지점이 사면에 닿아 스탠딩 글리세이딩보다는 다소 안전하다. 방향전환에 어려움이 있다. |
![]() |
글리세이딩시 주의점
* 멈춤지점이 확실하고 안전해야 한다.
* 자신이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스피드를 내야 한다.
* 피크가 가슴쪽을 향하지 않게 주의 해야 한다.
* 하산전에 안전밸트와 휴대한 장비를 배낭안에 넣는다.
* 크램폰을 신은 채 글리세이딩 하지 않는다.
* 눈사태 유발지점을 피해야 한다.
다운 클라이밍 (Down Climbing)
경사가 급하거나 눈이 단단하여 플런지스텝, 글리세이딩등으로 내려 오기가 불안할 경우 얼굴을 사면쪽으로 뒤돌아서 마주보고 등반자세의 역순으로 내려 온다. 발을 킥스텝, 픽켈은 삐올레 망쉬, 가로 꽂기(Horizontal Position) 등을 이용한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
'산행 지식·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눈에서의 확보물 I (0) | 2012.03.01 |
---|---|
3.5 자기 제동 (Self-Arrest) (0) | 2012.03.01 |
3.3 설벽등반기술 (0) | 2012.03.01 |
3.2 알파인스틱 보행법 (0) | 2012.03.01 |
3.1 기본보행기술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