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지식·장비

6.4 크레바스 통과요령

힉스_길메들 2012. 3. 1. 05:39

크레바스와 평행으로 등반라인을 잡아 진행하면 갑자기 크레바스에 추락할 경우, 중간자가 진자운동을 하며 추락하게 되어 더욱 크게 조난당할 수 있다. 파트너끼리 서로 등반라인을 수정해 가며, 등반라인이 크레바스와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크레바스 끝으로 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우회한다. 이때 선.후등자사이의 로프를 팽팽하게 하고 후등자는 선등자의 발자국을 따라가지 말것. 빙하를 가로지를 때 아래와 같은 병렬대형을 취하면 등반 로프의 라인은 크레바스와 직각을 이룬다.


스노우 브릿지(Snow Bridge) 통과

크레바스를 우회할 수 없을 때 크레바스에 걸려 있는 스노우 브릿지를 찾아 통과한다. 이때 선등자의 추락에 대비한 빌레이와 구조대책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선등자가 크레바스를 건넌 후 나머지 일행은 선등자의 스텝을 정확히 따라가며 다른 대원은 추락에 대비한다.
스노우브릿지의 힘은 기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추운 겨울 아침에는 트럭의 무게도 견딜 수 있는 스노우 브릿지가 오후가 되어 녹으면 자체의 무게만으로도 붕괴 될 수 있다. 아침에 오를 때 통과한 브릿지가 오후에 내려올 때 안전할 거라고 믿지 말라.
크레바스 점프

크레바스 점프는 우회.스노우 브릿지. 사다리등의 방법외에 크레바스를 통과 하는 마지막 요령으로 사용해야 한다. (뒤에서 반드시 확보를 해야 함)
피켈을 감아잡기 식으로 잡는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ca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