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 헬스

피로관리 지침

힉스_길메들 2011. 1. 9. 15:37

피로관리 지침

□ 피로에 대한 이해

- 피로의 여파: 피로로 인한 수면 부족은 판단력 저하, 상해율 증가, 실수의 증가 등으로 이어짐

- 피로감을 느끼게 되면 집중력이 저하되어 산재의 발생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결근율 및 이직률을 높여 결과적으로 사업장 전반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끼침

 

□ 피로의 원인

- 조직적 요인: 갑작스런 업무 증가, 업무에 필요한 기기 및 장비의 부족, 인력 부족 등

- 근무환경: 조명시설, 작업온도

- 개인적 요인: 근무자 개개인의 건강상태, 생활습관, 사회적 요인 등

 

□ 위험성 평가를 활용한 피로 관리

- 다수 근로자의 피로감은 사업장의 위험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업무 활동과 관련된 피로요인을 분석해내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 위험분석의 과정

· 피로의 원인이 되는 위험요소를 찾아냄

· 각 위험요소의 심각성을 분석

· 찾아낸 위험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및 질병의 가능성을 분석

· 특정 활동의 위험 정도를 분석

 

□ 업무중 발생하는 피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예방·통제하는 방법

- 업무환경 개선

· 실내온도 조절기 설치, 눈부심 방지창 설치, 휴게실 마련

- 근무스케줄 조정

· 복잡한 업무는 되도록 낮에 처리, 야간 교대근무의 최소화

· 충분한 휴식, 야간근무 또는 장시간 근무 근로자에게는 교통편 제공

· 장시간 근로를 유도하는 장려책은 지양

- 업무 재설계 (Job Redesign)

- 피로관리기술의 활용

· 피로감 계산기, 운전자 감시 센서(눈의 움직임 감지) 등

□ 피로관리 요령

- 8시간의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함

- 교대근무자의 경우 소화기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

- 하루 30분정도의 운동을 함

- 업무 중 휴식시간을 내어 쉬도록 하고 동료와 상호작용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