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kormedi.com/news/article/__icsFiles/afieldfile/2011/06/08/PS0018805.jpg)
사과 껍질에는 근육을 생성하고 유지하는데 도움 되는 성분인 '우르솔릭산'이 들어 있어 사과를 껍질째 먹는 것은 근위축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근위축증은 척추신경이나 간뇌의 운동세포가 서서히 파괴되면서 이 세포의 지배를 받는 근육이 위축돼 힘을 쓰지 못하는 불치병이다. 40~60대에 많이 나타나며 남자가 여자보다 발병위험이 2배 높다.
뉴욕 양키스의 4번 타자였던 루 게릭이 이 병으로 사망해 '루게릭병'이라고도 부르며 영국의 천문학자 스티븐 호킹도 이 병을 앓고 있다.
미국 아이오와대학의 크리스토퍼 아담스 박사팀은 먼저 근육이 약해졌을 때 유전자 활동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관찰하고 1300개의 화학물질을 체크한 결과 우르솔릭산이 이 증상을 고치는데 적합한 것을 발견했다. 우르솔릭산은 크렌베리 등에도 포함돼 있지만 사과 껍질에 특히 많다.
연구진은 추가 연구로 정상체중의 쥐에게 우르솔릭산을 투여하고 건강상태를 테스트한 결과 쥐의 근육이 더 커지고 붙잡는 힘도 강해진 것을 발견했다. 또한 동맥을 막아 심장에 손상을 주는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고 혈액 내 다른 지방성분 수치도 완화했다.
아담스 박사는 "근위축증은 병이나 노화로 인해 자주 발생하지만 아직 이 병에 대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법이 없다"며 "우르솔릭산은 새로운 약물 후보로 유력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포 대사(Cell Metabolism)' 저널에 게재됐으며 과학뉴스사이트 사이언스데일리,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온라인 판 등이 7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