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앰배서더 서울 호텔의 싱가포르식(왼쪽) 호주식(오른쪽) 킹크랩 요리
다리 8개가 마치 대나무를 연상시키듯 곧게 쭉쭉 뻗었다. 이 녀석의 한문 이름이 그래서 '죽해(竹蟹)'인가보다. 몸통은 요즘 한창 살이 올라 먹음직스럽게 빵빵해졌다. 크랩의 제왕, 킹크랩(대게)이다.
세계 여러 나라의 스타일이 가미된 색다른 대게 요리가 무진장이기 때문이다. '이국적인' 대게 요리를 맛보기 위해 2일 서울 중구 장충동 그랜드앰배서더서울호텔(구 소피텔)의 레스토랑 '카페 드 셰프'를 찾았다.
싱가포르식 vs 샌프란시스코식
싱가포르에서는 특유의 머드크랩(진흙게) 요리가 유명하다. 수심 200~1000m의 바다 속에 사는 대게와 달리 진흙게는 얕은 바닷가의 부드러운 진흙에 구멍을 파고 산다. 이 녀석을 칠리소스나 토마토 버터 마늘 같은 갖가지 재료로 만든 소스에 버무려 먹는 게 싱가포르식이다.
이 레스토랑의 웨인 골딩 총주방장은 싱가포르식 크랩 요리의 주인공을 진흙게 대신 대게로 과감하게 교체했다. 싱가포르식 칠리소스에 생강과 달걀 흰자를 섞어 또 다른 독특한 향도 연출했다.
쫄깃한 속살에 입힌 알싸한 싱가포르식 소스는 자칫 밋밋할 수 있는 대게 고유의 맛에 풍미를 더해 주며 잘 어울린다. 다민족 다문화 국가라는 싱가포르의 특색이 크랩 요리에도 그대로 묻어나는 듯하다.
미국 서부의 관문으로 불리는 샌프란시스코에서도 태평양 연안이라는 지리적 요건에 걸맞게 대게 요리가 인기를 끈다. 샌프란시스코식 대게 요리의 특징은 '숨김의 미학'. 완성된 요리 어디를 둘러봐도 게는 없다.
원형 돔처럼 부풀어오른 루(버터에 볶은 밀가루 도우)에 살짝 포크를 갖다 대면 파르르 갈라지며 아래로 가라앉는다. 대게는 그 안에 있다.
속살을 잘게 찢어 버섯 양파와 함께 볶은 다음, 크림소스에 넣어 스프를 만든다. 루가 섞인 게살 스프의 맛을 대표하는 단어는 고소함. 죽처럼 걸쭉해진 덕에 몇 숟가락만 떠도 든든해진다.
골딩 총주방장의 고향은 호주다. 할아버지부터 아버지에 자신까지 3대에 걸쳐 어부란다. 요리에 입문한 지는 올해로 17년. 그 이전엔 호주 동부의 해안 마을에서 새우와 게를 비롯한 각종 해산물을 직접 잡아 시장에 내다 팔았다. 덕분에 골딩 총주방장은 해산물 요리에 일가견이 있다.
그는 "겨울에만 잠깐 잡을 수 있는 대게는 귀한 만큼 뛰어난 식 재료"라며 "속살 특유의 질감이 전 세계인의 입맛을 고루 만족시킨다"고 말했다.
이번에 여러 나라의 음식 스타일을 대게 요리에 접목시켜 개성 있는 '퓨전식' 대게 요리를 만든 것도 바로 이런 점에서 착안했다고….
호주식 vs 한국식
카페 드 셰프의 스테이크 요리에는 시저 샐러드가 함께 나온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샐러드가운데 하나가 바로 시저 샐러드라는 골딩 총주방장의 판단에서다. 시저 샐러드엔 보통 닭고기나 연어가 들어간다. 골딩 총주방장은 여기에도 대게를 넣는다.
쇠고기와 대게. 전혀 성격이 다른 재료인 것 같지만 희한하게도 입 안에서 맛이 따로 놀지 않고 무난하게 섞인다. 시저 샐러드가 육지와 바다의 맛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해 준 덕분이지 싶다. 이 요리에 사용한 쇠고기는 호주산. 골딩 총주방장의 고향에선 대게를 대개 이렇게 맛보곤 한단다.
마지막으로 그에게 한국식 대게 요리의 비법에 대해 물었다. 그저 물에 넣고 익을 때까지 기다리면 될 뿐 특별한 레시피랄 게 없을 것도 같다. 하지만 이 역시 대게가 들으면 서운할 말이다.
골딩 총주방장은 "제대로 익히려면 바닷물과 비슷한 농도의 소금물에 삶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맹물에 넣고 삶거나 수증기만으로 익히면 대게 몸 안에 있는 특유의 향이 빠져나간다는 것. 대게가 원래 살던 환경과 비슷하게 만든 상태에서 요리하는 게 고유의 맛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방법이라는 얘기다.
또 다른 주의점은 불의 세기와 익히는 시간. 소금물이 끓으면 대게를 넣고 불을 줄여 25분 정도 익히면 된다. 너무 익히면 살이 줄어들고 맛도 없어진다.
|
<저작권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맛집·멋집n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쟁불 붙은 전문점… 어쨌거나 혀가 녹는다, 녹아 (0) | 2012.07.14 |
---|---|
박미란씨 "아웃도어 요리의 참맛은 후다닥 아닐까요" (0) | 2012.07.14 |
"북한에선 숭어국이 별미" (0) | 2012.07.14 |
[한가위] '엄마표 약선요리'로 감기 뚝… 원기 쑥… 입맛 확 (0) | 2012.07.14 |
짜잔~ 인스턴트 재료가 '우리집 명품 요리'로 (0) | 201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