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예보에 의하면 이번 주말 낮 기온은 평균 10도를 웃돌 전망이다. 따뜻한 주말 날씨에 산행을 계획하는 사람도 많을텐데, 특히 장·노년층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이 높아 건강에 신경 쓰면서 산행을 해야 한다.
등산 중 가장 위험한 것은 저체온증이다. 봄에는 일교차가 커 땀이 났다가 증발하는 과정에서 체온이 떨어져 저체온증이 생기기 쉽다. 강동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 김동환 교수는 "과도하게 땀이 나거나 과호흡, 말초 혈관 확장 등과 함께 탈진, 탈수, 열 손실의 증가를 느낀다면 저체온증에 걸린 것"이라고 말했다. 저체온증을 예방하려면 등산 준비물로 얇은 재킷을 챙기는 것이 좋다. 두꺼운 외투를 입으면 몸의 움직임이 둔해져 넘어질 수 있으므로 가벼운 옷으로 여러 겹 입는 것이 좋다.
◇ 당뇨병 환자는 1~2시간 뒤에 산행 가야
만성질환자들도 자신의 상태에 맞게 등산을 할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은 3km 미만의 완만한 흙길 등산로를 1시간 이내로 걷는 것이 좋다. 내려올 때는 올라갈 때보다 무릎에 체중이 더 실려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천천히 내려오도록 한다. 내려갈 때 스틱을 이용하면 다리로 가는 무게의 30%가 팔로 분산된다.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등산을 하면 뼈에 자극을 줘 골 형성을 촉진하고, 햇볕을 쫴 비타민D 형성에 도움이 된다. 평지보다는 짧고 완만한 코스로 등산하는 것이 좋다. 당뇨병 환자는 식사를 마치고 1~2시간 뒤 등산을 하는 것이 좋다. 식후 바로 산에 오르면 저혈당이 유발된다. 식전 혈당이 300㎎/dL 이상이라면 등산은 삼가는 것이 좋다. 심장질환이나 고혈압이 있는 환자는 천천히 걷는 것이 좋다. 빨리 걸으면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50대의 경우 최대 심박 수를 1분당 120~130 이하로 유지하면서 걷자. 혈압도 수축기 140㎜Hg, 이완기 90㎜Hg로 조절해야 한다.
◇등산 전 식사는 저지방 저단백, 간식은 고열량
등산을 하기 전에 힘을 많이 써야한다는 생각으로 고열량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소화과정에서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해 산행 중에 갈증이나 탈수 증상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등산 전에는 소화가 잘되는 저지방 저단백의 고 탄수화물식 식사가 좋다. 평소 식사량의 3분의 2를 산행 2시간 전에 먹자. 산행 중간에 섭취할만한 간식은 고열량을 낼 수 있는 초콜릿, 사탕, 에너지바 등이 좋다. 또 물을 마셔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면 근육 속의 피로 물질들의 체외 배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오이, 귤도 수분과 비타민을 공급해주므로 간식으로 적합하다.
헬스조선 김련옥 헬스조선 인턴기자
'산행 지식·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둘레길 도봉산구간 (0) | 2014.03.27 |
---|---|
북한산, 도봉산 둘레길 모든 것 (0) | 2014.03.27 |
건강한 가을 등산을 위해 준비할 것들 5 (0) | 2013.09.23 |
[휴가철 산행가이드] 붐비지 않는 전국 도립공원 5선 (0) | 2013.08.07 |
등산교실 [갑자기 다리에 쥐가 났을 때는?]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