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지난달 3일 대구 최대 전통시장인 서문시장에 야(夜)시장이 생겼다. 매일 오후 7시가 되면 길이 350m에 이르는 시장 도로에 80개의 이동식 매대가 들어선다. “어두컴컴했던 시장이 불야성으로 변했다”는 김영오(63) 상인회장의 말대로였다. 지난달 말 찾아간 서문시장 야시장은 ‘조명발’을 받은 과일빙수·떡갈비 등 먹거리로 가득했다. 이날 하루 동안 약 5만 명이 찾아와 북새통을 이뤘다.
지난달 3일 대구 최대 전통시장인 서문시장에 야(夜)시장이 생겼다. 매일 오후 7시가 되면 길이 350m에 이르는 시장 도로에 80개의 이동식 매대가 들어선다. “어두컴컴했던 시장이 불야성으로 변했다”는 김영오(63) 상인회장의 말대로였다. 지난달 말 찾아간 서문시장 야시장은 ‘조명발’을 받은 과일빙수·떡갈비 등 먹거리로 가득했다. 이날 하루 동안 약 5만 명이 찾아와 북새통을 이뤘다.
전통시장에 야시장이 들어서면서 저잣거리의 밤이 분주해졌다. 몇 년 새 전국 곳곳에 야시장이 부쩍 늘었다. 행정자치부 · 문화체육관광부 · 국토교통부 · 중소기업청 등 정부 부처 및 기관이 ‘전통시장 야시장’ 사업을 벌이면서다. 야시장은 법에 등장하는 용어는 아니다. 지자체에서 영업 허가를 얻은 ‘노점거리’로 보면 된다. 판매자, 운영 시간 모두 지자체가 결정한다. 행정자치부 이상연 사무관은 “야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전통시장의 상인도 영업을 연장하고 손님을 맞는다. 야시장은 전통시장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야시장 사업에 국비 68억원을 지원했다. 2011년 1개에 불과했던 야시장은 올해 26개로 늘었다. 지자체가 만든 야시장까지 합치면 34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곳만 추린 숫자다. 충북 청주 서문시장, 전남 나주 목사고을시장 등 몇몇 야시장은 얼마 못 가 폐장했다. 하지만 전주 남부시장, 광주 대인예술시장 등 관광 명소가 된 야시장도 있다.
야시장은 특히 20~30대를 전통시장에 불러 모았다. 지난달 27일 부산 부평깡통시장 야시장은 개장 전부터 들썩였다. 진행요원이 야시장의 시작을 알리는 호루라기를 불자 입구에서 대기하던 손님 100여 명이 시장으로 향했다. 매대 30개가 놓인 시장 골목은 사람들과 어깨를 부딪지 않고 다니기 힘들었다.
부평깡통시장 야시장 상인 김대응(59)씨는 “대학생 방학 기간이 야시장의 성수기”라며 “젊은 층이 찾아오면서 먹거리 메뉴도 바뀌었다”고 전했다. 떡볶이·우동 등 평범한 음식 대신 우유튀김·냉면구이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먹거리가 올라왔다. 임채윤(21)씨는 “명물 음식을 먹으러 대구에서 찾아왔다”며 “시장이 북적북적해서 재미있다”고 말했다.
부평깡통시장 야시장 상인 김대응(59)씨는 “대학생 방학 기간이 야시장의 성수기”라며 “젊은 층이 찾아오면서 먹거리 메뉴도 바뀌었다”고 전했다. 떡볶이·우동 등 평범한 음식 대신 우유튀김·냉면구이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먹거리가 올라왔다. 임채윤(21)씨는 “명물 음식을 먹으러 대구에서 찾아왔다”며 “시장이 북적북적해서 재미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아예 2030세대가 주도하는 야시장을 열었다. 지난달 2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문을 연 ‘서울 밤도깨비야시장@DDP’다. 청년(39세 이하)에 매대를 우선 배정한 덕에 판매자 중 청년 비중이 80%에 이른다.
지난 2일, 야시장 개장에 맞춰 DDP ‘8거리’ 광장에 푸드트럭 30대가 집결했다. 푸드트럭은 형형색색 개성이 넘쳤다. 탑차를 개조해 지붕이 3m 높이까지 올라가는 트럭이 있는가 하면, 트레일러를 단 푸드트럭도 있었다. 떡볶이 국물에 버무린 치킨, 떡갈비 핫도그 등 푸드트럭 음식은 외양만큼 다채로웠다. 서울시 전민재 주무관은 “청년 사업가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야시장을 매력있게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시장 한편에서 버스킹 공연·DJ 댄스 파티도 이어졌다. 도심 한복판에 별안간 나타난 시끌벅적한 장터였다.
이번 주 week&은 가볼만한 야시장 6곳을 콕 집어 소개한다. 행정자치부·중소기업청이 추천한 야시장이다. 음식을 볶고, 찌고, 굽는 열기가 가득한 야시장이 ‘피서지’라고는 못하겠다. 하나 야시장은 한여름 밤 신나는 놀이터로 삼을 만하다. 허기를 달랠 별미 음식이 있고, 눈과 귀를 즐겁게 할 공연도 펼쳐진다. 북적북적한 야시장을 돌아다니다 보면 열대야에도 신바람이 일지 모를 일이다.
패션쇼·음악회·댄스파티 여는 저잣거리, 젊은 층 북적북적
가볼 만한 야시장 6곳
야시장의 가장 큰 즐거움은 먹는 재미에 있다. 다국적 길거리 음식뿐만 아니라 고급 레스토랑에서나 내놓던 메뉴도 맛볼 수 있다. 버스킹 공연, 댄스 파티 등 각종 문화행사는 시끌벅적한 야시장의 분위기를 돋운다. 현재 운영되는 야시장은 전국 곳곳에 34개가 있다. 야시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행정자치부와 중소기업청에 ‘가볼 만한 야시장’을 추천받았다. 밤마다 인산인해를 이루는 6개 야시장이 낙점됐다.
부산 부평깡통시장 야시장
전 세계 별미 음식 한자리에
부산은 ‘시장의 도시’다. 전국 1536개 전통시장 중 부산 지역에만 169개가 있다. 전국 154개 시·군 중 서울(230개)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 특히 부산 중구엔 자갈치시장·국제시장 등 관광 명소가 된 시장이 모여 있다. 요사이 여행객에게 사랑받는 시장은 부평깡통시장이다. 비빔당면·유부보따리 등 먹거리가 넘쳐 식도락 투어의 성지로도 꼽힌다.
2013년 10월에는 부평깡통시장에 야시장이 개장했다. 1호 상설 야시장으로 통한다. 매일 오후 7시 30분, 제2아케이드에 매대 30개가 일제히 영업을 시작한다. 야시장의 주역도 역시 먹거리다. 일명 ‘깡통또디’로 통하는 베이컨치즈또디아(3000원)가 인기 있다. 밀전병에 잡채·치즈를 듬뿍 담아준다. 인도네시아 볶음국수 미고랭(3000원), 베트남 튀김만두 짜조(1000원), 일본 빈대떡 오꼬노미야끼(3500원) 등 아시아 음식도 집결했다.
야시장 골목 중간쯤 밀레니엄노래방 3층에 휴게소가 있다. 야시장 시간에 맞춰 문을 연다. 100㎡ 규모로 의자 30개가 놓여있다. 야시장에서 구입한 음식을 들고 가서 먹어도 된다.
부산 중구 중구로33번길 32, 매일 오후 7시 30분~자정
야시장 골목 중간쯤 밀레니엄노래방 3층에 휴게소가 있다. 야시장 시간에 맞춰 문을 연다. 100㎡ 규모로 의자 30개가 놓여있다. 야시장에서 구입한 음식을 들고 가서 먹어도 된다.
부산 중구 중구로33번길 32, 매일 오후 7시 30분~자정
대구 서문시장 야시장
최대 규모 먹거리 자랑
지난달 3일 개장했다. 서문시장 건어물 상가 앞 도로(길이 350m, 너비 12m)에 매대 80개가 들어선다. 부산 부평깡통시장 야시장 골목보다 폭이 3배 넓다. 65개 매대에서 먹거리를 판다. 먹거리 판매자는 ‘서문 고시(考試)’로 불린 맛 품평회를 통해 선발했다. 대구 시민 60명이 심사했다.
‘미대생포차’의 파스타(3000원)는 30~40분 줄을 서야 겨우 맛볼 수 있는 메뉴다. 이탈리안 레스토랑을 함께 운영했던 김문선(27)·강상현(30)씨 커플이 실력을 발휘한다. ‘빙내가’를 이끄는 대만인 천샤오잉(32)은 과일빙수(3500원)를 선보인다. 얼음이 서걱서걱하지 않고 부드럽다. ‘과일을 아는 남자’ 이광희(34)씨는 플라스틱 전구에 과일주스를 담아낸다. 빨대에 LED 조명을 달았다. SNS에 사진을 올리는 젊은 손님의 ‘야시장 필수 아이템’으로 통한다. 전구소다 3500원.
주차장 빌딩 앞에 의자 200개가 놓인 휴게 공간이 있다.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도 있다. 야시장 여행정보센터에 문화해설사 2명이 오후 7시부터 10시 30분까지 대기한다. 영어·중국어 통역이 가능하다.
대구 중구 큰장로26길 45, 매일 오후 7시 30분~자정
주차장 빌딩 앞에 의자 200개가 놓인 휴게 공간이 있다.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도 있다. 야시장 여행정보센터에 문화해설사 2명이 오후 7시부터 10시 30분까지 대기한다. 영어·중국어 통역이 가능하다.
대구 중구 큰장로26길 45, 매일 오후 7시 30분~자정
서울시가 여의도한강공원(3월), 청계광장(5월)에 이어 올해 3번째로 개장한 야시장이다. 지난달 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8거리 광장에서 문을 열었다.
판매자 102개 팀 중에서 72개 팀이 핸드메이드 상품을 판매한다. ‘미라베베’ 심누리(31)씨는 5개월 된 딸을 위해 아기 용품을 만들다가 판매에까지 나섰다. 손바느질로 곰돌이 인형(2만4000원), 아기용 헤어밴드(1만2000원)를 제작했다. ‘다다몽’ 김다예(27)씨는 휴대폰 케이스(2만4000원)를 들고 나왔다. 케이스에 김 씨가 그린 일러스트가 담겼다. 문화행사도 다양하다. 16·23일에는 동대문에서 활약하는 신진 디자이너의 패션쇼 ‘청춘런웨이’가 개최된다. 같은 날 댄스파티 ‘DJ 댄싱 나이트’도 열린다.
푸드트럭 30대에서 먹거리를 판다. 초밥(1만원)·살치살 구이(5000원) 등 고급 메뉴도 있다. 배연하(30)씨의 ‘고기식당’의 줄이 가장 길다. 스테이크(8000원)에 치즈를 얹어낸다.비가 오면 휴장한다. 야시장 전날 홈페이지(bamdokkaebi.org) 공지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게 좋다.
서울 중구 을지로 281, 매주 금·토요일 오후 7시~자정
오산 오색시장 야시장
치맥 대신 야맥(야시장+맥주)
푸드트럭 30대에서 먹거리를 판다. 초밥(1만원)·살치살 구이(5000원) 등 고급 메뉴도 있다. 배연하(30)씨의 ‘고기식당’의 줄이 가장 길다. 스테이크(8000원)에 치즈를 얹어낸다.비가 오면 휴장한다. 야시장 전날 홈페이지(bamdokkaebi.org) 공지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게 좋다.
서울 중구 을지로 281, 매주 금·토요일 오후 7시~자정
오산 오색시장 야시장
치맥 대신 야맥(야시장+맥주)
오색시장 남문 근처 100m 구간에 열리는 야시장이다. 시장 상인 3팀, 청년 사업가 9팀 등 12팀이 매대를 운영한다. 상인은 양꼬치(1000원)·닭발(7000원) 등 중년 층이 선호하는 먹거리를 판매하고, 청년은 오징어 구이(3000원)·팟타이(3000원) 등 젊은 층을 겨냥한 메뉴를 선보인다. 매대는 적지만 시장은 북적거린다. 야시장 구역의 50개 점포 중에서 카페·회집·옷가게 등 30여 개 점포가 영업을 연장한다. 야시장 장날 2000명이 찾아온다.
대다수 야시장에서는 술을 판매하지 않는다. 주변 상권과 상생하기 위해서다. 한데, 오색시장 야시장 매대에는 술이 있다. 오색시장의 최고 인기 품목, 수제 맥주 ‘오로라’다. 수제 맥주는 전통시장과 야시장의 합작품이다. 양조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전통시장 상인과 야시장 운영 팀이 함께 레시피를 개발했다. 전통시장 상인이 야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지난 4월 판매를 시작했다. 1잔(500㎖) 4900원. 오후 7~8시 야시장에서 3000원 이상 먹거리를 구입하면 오로라 1잔(355㎖)을 공짜로 준다.
경기도 오산 오산로272번길 22, 매주 금·토요일 오후 5~11시
광주 대인예술시장 야시장
예술가가 만든 별난 장터
경기도 오산 오산로272번길 22, 매주 금·토요일 오후 5~11시
광주 대인예술시장 야시장
예술가가 만든 별난 장터
토요일마다 야시장으로 변하는 대인시장은 한 때 380여 개 점포 중 100여 개가 비었을 정도로 침체됐다. 2008년 공공미술 프로젝트인 ‘복덕방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시장은 활기를 되찾았다. 예술가들은 덕지덕지 전단지가 붙은 시장 벽면에 선동열·장미란 같은 친근한 인물을 그려 넣었다.
2011년 9월에는 야시장을 개장했다. 매대 120개가 시장에 들어선다. 예술가 20명이 야시장 판매자로 나선다. 핸드메이드 팔지·지갑 등을 판매하는 홍희진(34)씨도 그중 한 명이다. “나만의 작품을 사람들에게 보여 줄 수 있어 좋습니다.”
야시장에서 많이 팔리는 제품은 휴대폰 케이스, 방향제 등 수공예품들이다. 먹거리 매대는 30개가 있다. 인기 메뉴는 얇은 크레페를 층층이 쌓아 올린 크레페케이크이다. 대학생 이혜린(20)씨는 “케이크가 달지않고 부드러워 맛있다”며 좋아했다. 한 조각 3500원. 야시장에 열릴때 마다 1만 명이 찾아온다. 매달 테마를 바꿔 문화공연도 열린다. 지난달은 ‘무용’, 이번 달은 ‘언플러그드 소규모 음악회’가 주제였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뮤지션이 참여한다.
광주 동구 제봉로194번길 7-1, 매주 토요일 오후 7시~자정
목포 남진야시장
‘님과 함께’ 밤 나들이
광주 동구 제봉로194번길 7-1, 매주 토요일 오후 7시~자정
목포 남진야시장
‘님과 함께’ 밤 나들이
“안녕하시지라. ‘DJ 홍어아재’입니다. 장마철에도 이라고 시장을 찾아준 손님들께 감사 말씀 올리겄습니다.”
목포 남진야시장은 홍어 장수 김용희(57)씨의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와 함께 문을 연다. 김씨는 지난해 12월 목포 자유시장에 야시장이 개장하면서부터 DJ로 활동하고 있다. DJ박스 앞 간이무대에서는 남진 모창대회, 노래자랑 등이 수시로 열린다.
남진 야시장은 목포 출신 가수 남진의 이름을 따왔다. 남진은 지난 4월 8일 야시장에서 직접 공연도 열었다. 야시장은 남진의 노래를 즐겨 듣던 중장년층에게 추억의 공간이다. 부산에서 온 정재호(52)·공병옥(48)씨 부부도 남진의 오랜 팬이다. 정씨 부부는 시장 입구 남진 캐릭터 동상 앞에서 사진을 찍으면서 마치 남진을 만난 것처럼 좋아했다.
매대 45개 중 음식 매대는 30개다. 스카치에그바비큐(3500원)가 인기다. 영국 길거리 음식으로 돼지고기를 돌돌 말아 바비큐소스를 뿌려 먹는 주전부리다. 큐브스테이크(6000원), 문어꼬치구이(3000원)도 줄서서 먹는 음식이다.
전남 목포 자유로 122, 매주 금·토요일 오후 6~10시
글=이석희·양보라 기자 seri1997@joongang.co.kr
사진=임현동 기자 hyundong30@joongang.co.kr
'맛집·멋집n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굴비 간장게장의 맛은 광교 '하늘재연사랑' (0) | 2016.07.30 |
---|---|
마초15 독개다리밑, 자양동 자자모, 규홍과 붕어찜 (0) | 2016.07.17 |
수산물 안전성 조사 강화…민물장어 안심하고 드세요 (0) | 2016.06.30 |
소래가다 가성비좋은 양푼이국수집 (0) | 2016.04.23 |
16병신년 윤태열이 일산호수공원 먹벙을 (0) | 2016.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