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설 연휴가 시작된다. 새해 첫 번째 명절이자 연휴이지만 쉴 수 있는 날은 고작 4일이다. 장거리 운전도 해야 하고, 오랜 시간 음식도 만들어야 하고, 즐겁게 놀기도 하며 짧은 기간 내에 할 건 다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자칫 잘못하면 건강에 빨간 불이 켜질 수도 있다. 특히 관절은 각별히 신경 써야 하는 부위다.
◇장거리 운전 해야 하는 아빠, 짬짬이 휴식
‘명절’ 하면 떠오르는 많은 것들 중 결코 빠질 수 없는 한 가지는 바로 교통체증이다. 마치 주차장을 방불케 하는 꽉 막힌 고속도로 위에서의 교통체증은 가뜩이나 먼 길을 가야 하는 귀성객들을 괴롭히는 최대의 적이다. 그러다 보니 장거리 운전을 해야 하는 아빠의 몸은 찌뿌드드 하다 못해 욱신거린다. 장시간 앉아 운전을 하게 되면 허리도 뻐근하고, 목도 뻣뻣해지고, 발목마저 시큰거리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을 할 때는 등받이를 90~110도로 세워 허리에 안정감을 주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등은 최대한 등받이에 붙이되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운전을 할 때는 발이 편한 단화를 신어야 발목과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그리고 1~2시간 주행 후에는 반드시 차 밖으로 나와 신선한 공기도 마시고,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피로감을 줄이는 것이 좋다. 정동병원 김창우 대표원장은 “명절 피로로 인해 허리와 무릎 등에 통증이 생겼다면 빨리 안정을 취하고, 20~30분 정도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쪼그려 앉아 음식 하는 엄마, 틈틈이 스트레칭
주부들에게 있어 명절은 전혀 반갑지 않은 손님이다. 명절의 대부분을 주방에서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허리와 무릎은 명절을 지내는 여성에게 있어 가장 고통스러운 부위이다. 명절 음식을 준비할 때는 바닥에 둘러 앉아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오랜 시간 허리를 구부린 채 일을 하게 되면 서 있을 때의 2~3배 정도의 하중이 허리에 가해지게 되고, 또한 무릎을 완전히 구부려 쪼그리고 앉으면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이 7배 이상 증가해 무릎은 물론 고관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조사에 따르면 명절을 전, 후로 허리와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평소보다 약 2배 가까이 급증한다고 한다. 또한 손목도 괴로운 부위다. 칼질 등 손목을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면 명절이 끝나면 손 저림 증상이 심한 손목터널증후군 등을 호소하는 주부들이 많아진다.
김창우 원장은 “음식을 준비할 때는 푹신한 방석 등을 꼭 깔고 앉아서 일을 하는 것이 좋고, 주방 일을 하는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줘야 관절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TV보고, 게임 하며 놀기 바쁜 아이, 바른 자세로 놀아야
짧은 연휴이긴 하지만 그 동안 공부하느라 지쳐있던 아이들에겐 그야말로 꿀맛 같은 연휴이기도 하다. 한동안 구경도 못했던 TV도 밤 늦게까지 볼 수 있고, 컴퓨터 게임도 실컷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맘껏 노는 것도 좋지만 이왕이면 바른 자세로 노는 것은 어떨까? 대부분의 아이들이 TV를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할 때 삐딱한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TV를 볼 땐 누워서 보거나 삐딱하게 기대서 보는 경우가 많고, 컴퓨터 게임을 할 때도 가장 편한 자세를 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삐딱한 자세가 반복되면 아이들에게도 허리디스크가 생길 수 있다.
디스크는 뼈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라 척추 뼈 사이에 있는 섬유테와 그 속에 들어 있는 수핵(디스크)이 바깥으로 튀어나오거나 파괴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턱을 괴고 앉거나 허리와 엉덩이를 앞으로 내밀거나 고개를 앞쪽으로 내미는 등의 잘못된 자세를 오랫동안 반복하는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의 허리디스크는 어른들과는 달라서 신경이 마비되는 일은 거의 없고 근육 위축도 드물다. 따라서 한쪽 다리나 양쪽 다리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뻣뻣하게 저릴 때, 엉덩이나 허벅지 부분, 종아리 등이 당기고 아픈 경우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김 원장은 “성장기인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디스크로 인해 성장판이 다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무엇보다 적절한 시기의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지혜롭게 사는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에 모이면 서로 다투는 이유 있다 (0) | 2012.01.25 |
---|---|
입학식이 두려운 늦둥이 아빠를 위한 탈모 치료! (0) | 2012.01.20 |
귀성길, 졸음운전 예방 이렇게 (0) | 2012.01.20 |
부자되는 관상은 어떤 것? 치아부터 관리해야 (0) | 2012.01.20 |
늦은 노후대비에 즉시연금 인기 (0) | 201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