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영혼의 자유

카파도키아 계곡들 [괴레메, 우치사르(비들기계곡), 데브란트, 파샤바, 짚 샤파리]

힉스_길메들 2014. 9. 23. 23:30

터키 카파도키아 개구쟁이 스머프들의 고향 마을로 가는 길

그 어떤 거대한 손이 있어 어느 한가로운 오후, 심심풀이로 진흙을 이겨 빚어놓았을까. 신이 펼쳐 놓은 캔버스 위에 인간의 손길로 마무리된 곳. 영화 스타워즈와 만화 ‘개구쟁이 스머프’의 무대가 된 요정들의 세계로 들어가는 길.

모든 말과 감탄사조차 사라지는 곳

지구에는 그런 곳이 있다. 그토록 무수한 소문을 듣고, 그토록 많은 사진을 보았다 해도 그 앞에 서면 생생한 충격으로 몸이 굳어버리는 곳. 자연이 만든 풍경 앞에서 인간의 언어 따위는 무기력하고 진부하기만 해 그 모든 말과 감탄사조차 사라지는 곳. 터키 중부의 카파도키아(Cappadocia)는 그런 곳이다. 살아오는 동안 한 번도 본 적 없는 풍경 앞에 서면 그 어떤 말도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이곳은 여럿이 함께 보다는 혼자 와야 하는 곳이고, 한낮의 태양보다는 늦은 오후의 사위어가는 햇살 속에 찾아야 하는 곳이다.

개구쟁이 스머프의 배경이 된 파샤바 계곡의 버섯바위.

카파도키아는 막막하리만치 너른 벌판에 솟아오른 기기묘묘한 기암괴석들이 혼을 사로잡는 곳이다. 인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길고 긴 시간 동안 자연이 공들여 만든 작품이다. 수백만 년 전 에르시예스 산(Erciyes 3,916m)에서 격렬한 화산 폭발이 있은 후, 두꺼운 화산재가 쌓여 굳어갔다. 그 후 수십만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모래와 용암이 쌓인 지층이 몇 차례의 지각변동을 거치며 비와 바람에 쓸려 풍화되어 갔다. 그렇게 화산재가 굳어 만들어진 응회암은 인간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굴을 팔 수 있을 만큼 부드럽다. 날카로운 돌만으로도 절벽을 뚫어 집을 지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훌륭한 요충지가 되어주었다. 이 바위촌의 첫 입주민들은 로마에서 박해를 피해 건너온 기독교인들이었다. 그들은 그렇게 눈에 띄지 않는 암벽과 바위 계곡 사이를 파고 깎고 다듬어 교회와 마구간이 딸린 집들과 납골소와 성채를 만들고, 지하도시까지 건설했다. 결국 카파도키아는 자연과 인간이 공들여 함께 만든 걸작품으로 남았다.

카파도키아 지역은 예부터 동양과 서양을 잇는 중요한 교역로였다. 하나의 제국이 일어설 때마다 카파도키아는 전쟁터로 변했다. 기원전 18세기에 히타이트인들이 정착한 이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오스만 투르크 제국이 차례로 이곳을 점령했다. 로마와 비잔틴 시대에 기독교인들의 망명지가 되었던 이곳은 4세기부터 11세기까지 기독교가 번성했다. 지금 남아있는 대부분의 암굴교회와 수도원들은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위대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동시에 누리는 일

카파도키아를 걷는 일은 장엄하고 위대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동시에 누리는 일이다. 카파도키아의 걷기의 베이스캠프는 괴레메(Goreme). 카파도키아의 초현실적인 풍경의 중심지로 물결 치듯 늘어선 바위 계곡들과 암굴 교회들, 환상적인 전망대와 최고의 트레일을 갖춘 마을이다. 괴레메의 중심지에서 1km 남짓 떨어진 야외박물관(Open Air Museum)은 이름 그대로 노천의 모든 것들이 박물관이 되어버린 곳이다.

이미지 목록

우치사하르 주변의 풍경. 자연과 인간이 공들여 함께 만든 걸작품이다.

로즈밸리로 트레킹 중인 여행자들. 가이드와 함께 하는 트레킹도 나쁘지 않다.

바위를 깎아 만든 비잔틴 양식의 교회와 수도원 중 약 30여 개의 교회가 야외 박물관으로 공개되고 있다. 이 교회들은 통풍과 채광을 위한 구멍, 입구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장식이 없어 외부에서 볼 때는 인간의 거주 흔적을 찾기 어렵다. 내부로 들어서면 깎고 다듬은 공간 안에 프레스코 벽화들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는 암굴 교회라는 특징 덕분에 프레스코화들이 지금까지 선명하게 남을 수 있었다. 이곳의 교회들은 저마다 독특한 애칭으로 불린다. '어두운 교회', '사과 교회', '뱀 교회', '샌들 교회', '버클 교회' 등 그 이름에 얽힌 유래를 찾아가며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 무덤과 교회들을 둘러보며 걷다 보면 두세 시간은 훌쩍 지나간다. 다시 마을의 중심지로 돌아와 북서쪽으로 난 아드난 멘데레스 거리를 따라가자. 한 시간 남짓 도로를 따라 걸으면 우치사르(Uchisar).

우치사하르의 성채에서 내려다보는 전경

멀리 우뚝 솟은 바위성이 이정표가 되어주기에 길을 잃을 염려는 없다. 바람에 실려 오는 살구꽃 향내를 맡으며 걸어가는 길, 노새를 끌고 밭을 가는 농부들이 보인다. 바위 성채로 유명한 우치사르는 성채의 꼭대기에서 360도 파노라마의 장관을 선사한다. 성채에 딸린 카페에서 차 한 잔을 시켜놓고 푸른 기운이 짙어가는 봄날의 들판을 바라보며 앉아있자.

카파도키아 트레킹의 백미는 로즈밸리다. 로즈밸리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가이드와 함께 하는 트레킹도 나쁘지 않다. 숙소의 여행자들과 삼삼오오 짝을 이뤄 걷는 길, 배꽃과 살구꽃, 아몬드꽃이 다투듯 내뿜는 향기 속에 조붓한 흙길 너머로는 들꽃들이 노랗게 피어났다. 동굴 교회나 가옥을 둘러보기도 하고, 전망 좋은 바위의 작은 찻집에서 뜨거운 애플티 한 잔을 마시며 쉬기도 하며 느리게 걷는 길. 장미의 계곡(Rose Valley)을 붉게 피워내며 스러지는 저녁 노을은 카파도키아가 선물하는 최고의 비경이다.

이름만큼이나 낭만적인 풍경들

괴레메 주변은 가볍게 다녀올 수 있는 트레킹 코스로 가득하다. 흰 계곡, 장미의 계곡, 비둘기 계곡, 긴 계곡, 칼의 계곡, 붉은 계곡, 사랑의 계곡 등등. 그 이름만큼이나 낭만적인 풍경들이 기다리고 있다. 어느 햇살 따스한 봄날 이곳에 들러 이 계곡에서 저 계곡으로 유랑을 즐기다보면 깨닫게 되리라. 아름다운 것들을 너무 일찍 보아버린 사람들에게는 길고 독한 그리움만이 남겨질 뿐이라는 것을.

붉은 사암으로 이루어진 로즈밸리. 세상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카파도키아만의 풍경이다.

 

코스 소개
수도 앙카라에서 300km 남쪽에 위치한 카파도키아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중부에 자리 잡고 있다. 네브세히르와 카이세리 사이에 위치한 광활한 기암지대를 부르는 이름이다.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기암괴석들 사이로 지하도시와 암굴 교회 등이 빼곡히 들어찬 세계유산 지역이다. 괴레메를 베이스 캠프로 삼으면 주변의 우치사르, 아바노스 등 주변을 둘러보기 편하다. 지역이 방대하기 때문에 일일투어와 자유여행을 혼합하는 것도 괜찮다. 그린 투어, 레드 투어, 짚 투어, 벌룬 투어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그린 투어’를 선택하면 카파도키아 파노라마를 볼 수 있는 전망대부터 시작해 데린쿠유 지하도시, 우흐랄라 계곡 트레킹, 셀리메 바위 수도원, 파샤바의 버섯 바위, 비둘기계곡 등을 거치게 된다.

찾아가는 법
이스탄불에서 카파도키아까지는 버스로 11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보통 저녁에 출발해 아침에 도착하는 야간버스를 이용한다.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스탄불에서 카이세리나 네브세히르로 이동하면 된다. 카파도키아의 거점도시 네브세히르(Nevsehir)의 버스터미널에서 우치사르나 괴레메, 아바노스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행하기 좋은 때
카파도키아는 일 년 내내 여행할 수 있다. 하지만 트레킹을 즐길 예정이라면 무더운 여름은 가급적 피하자. 계곡으로 향하는 길은 그늘이 없는 경우가 많아 지치기 쉽다.

여행 Tip
카파도키아를 둘러보는 방법은 도보, 자전거, 말, 스쿠터, 버스, 열기구 등 다양하다. 그중 열기구 투어는 카파도키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인기가 높다. 약 1시간 동안 진행되며 착륙 후 샴페인 세례와 함께 수료증이 주어진다. 이용 요금은 비싸지만 가격 대비 만족도가 매우 높다. 카파도키아에는 동굴집을 개조해 만든 동굴 호텔들이 많다. 저렴한 배낭족 숙소부터 4성급 이상의 고급호텔까지 다양한 동굴호텔이 있으니 머물러보자.

 

 

터키 중앙부의 네브세히르(Nevsehir)현(縣)에 자리잡고 있다. 1983년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고, 1985년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의 세계유산 목록 중 복합유산으로 등록되었으며, 1986년 터키의 국립역사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괴레메 계곡은 300만 년 전의 화산 분화로 퇴적된 응회암층(凝灰岩層)이 오랜 세월에 걸쳐 땅 속에서 솟아나오는 지하수나 빗물 등에 의해 형성된 기묘한 모양의 바위들이 늘어서 있는 해발고도 1,000∼1,300m의 계곡이다. 이런 환상적인 기암군(奇巖群)은 전세계에서 오직 이 곳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총면적 약 96㎢의 계곡 안에는 이런 기묘한 풍경 외에도 뛰어난 벽화가 있는 360여 개의 동굴수도원이 흩어져 있다.

카파도키아는 아나톨리아(소아시아) 중부의 황량한 화산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이 지역은 유사 이전에 해발고도 3,000m가 넘는 화산의 분화로 대량의 화산재가 쌓인 곳이다. 단단하지 못한 응회암층이 오랜 세월에 걸쳐 지하수나 빗물 등에 의해 침식되어 만들어진 버섯이나 죽순 모양의 기암들이 줄지어 서 있는 세계 유일의 환상적인 지형을 이루고 있다.

카파도키아에는 BC 20세기에 아시리아인이 식민도시를 건설하였고, BC 17세기∼BC 12세기에는 히타이트 왕국의 지배하에서 교역의 요충지로 발전하였다. 4세기 초 그리스도교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면서 그리스도교인들이 이 계곡으로 숨어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

7세기 후반에 이슬람교도들에 의하여 터키가 점령되면서 카파도키아로 이주하는 그리스도교인들의 수는 더욱 늘어났다. 11세기 무렵에는 인구가 7만 명에 달했고, 그들이 바위를 파서 만든 동굴 성당이나 수도원이 360여 개에 이르게 되었다. 카이마리크 지구 등지에는 동굴 속에 미로 같은 지하도시가 건설되었고, 주택과 학교, 식량저장고, 우물, 환기용 굴뚝 등과 함께 묘지까지 조성되었다.

카파도키아에는 많은 비잔틴 프레스코화가 그려졌으나, 8∼9세기 전반의 우상파괴운동으로 초기의 것은 대부분 파괴되었고, 지금 남아 있는 것은 9세기 후반에서 13세기에 제작된 작품들이다. 괴레메 옥외 미술관은 둥근 지붕에 《전능의 그리스도》가 그려져 있는 엘마르 키리세(사과 성당)와 이 지역 최대의 성당이자 그리스도의 일생을 그린 뛰어난 프레스코화가 있는 토칼 키리세, 푸른 색 안료를 사용한 우아한 화풍의 카랑루크 키리세(어둠의 성당), 계곡의 풍경을 한 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메리에나마 키리세(성모 마리아 성당) 등 대표적인 성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요약 터키 중부 네브셰히르주(州) 카파도키아 지역 데린쿠유 행정구에 있는 지하도시. 
 

카이마크리 지하도시 외부터키 카피도키아.

깊이 85m까지 내려가는 지하 8층 규모의 거대한 지하도시이다. 네브셰히르와 니데(Niğde) 사이에 난 도로상에 있으며 주도(州都)인 네브셰히르에서 29km 떨어져 있다. 터키에 많은 지하도시 중에서 가장 큰 곳으로, BC 8~7세기에 프리지아인(人)이 처음으로 세웠으며 당시에는 커다란 돌문으로 안쪽에서 막을 수 있었다. 이후 로마제국의 종교박해를 피해 온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이 숨어들었으며 7세기부터는 이슬람교인들로부터의 박해를 피하는 데 사용하는 등 주로 종교적인 이유로 은신하려는 사람들이 살았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거주지 유적은 모두 AD 5~10세기의 중기 비잔틴시대에 속하는 것들이다.

수용규모는 3,000~5만 명이며 넓이는 약 185㎡, 연면적은 650㎡이다. 카파도피아의 다른 지하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예배당, 학교 교실, 식당, 침실, 부엌, 마구간, 창고, 와인·식용유 저장고 등 다양한 생활시설이 갖춰져 공동생활에 불편하지 않게 만들어졌다. 각층은 독립적으로 구별되며 긴 터널을 통해 다른 지하도시들과 연결된다.

다른 지하도시들과 달리 2층에 아치형 천장을 갖춘 넓은 방이 있는데, 종교를 교육하고 연구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3층과 4층 사이에는 제일 아래층에 위치한 십자형 교회로 가는 수직 계단이 설치되었다. 55m 길이의 커다란 통로는 위쪽에 있는 마을 사람들에게 물을 올려 보내거나 사람들이 숨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