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필수품입니다. 이번에 산악 자전거(MTB)에 대해서 기초를 다지는 마음으로 산악자잔거 종류와 그 하나 하나를 포스팅 하면서 그 동안 대략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히 모르고 있는 부분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서스펜션(Suspension)이 었습니다. 누구가 쉽게 샥이라고 이해를 하고 있었고, 저 또한 그렇게 이해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짚고 넘어가면 생소하다 못해 이런게 있었나?? 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어서 오늘은 그 서스펜션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자 산악 자전거(MTB) 전문가 과정 8탄으로 'Suspension(서스펜션) ' 의 모든 것에 대해서 포스팅 할려고 합니다.
Suspension(서스펜션)의 모든 것 @ 전문가 과정 8탄 | |
▲ 앞 서스펜션 구조
▲다운힐, 올마운틴, XC 앞 서스펜션(왼쪽 부터)
▲코일 방식 ▲ 에어 방식
에어 방식은 스프링 코일 대신에 에어를 주입하여 완충재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무게가 가볍고 잔 충격 흡수가 좋아 승차감이 우수합니다. 가격이 비교적 고가여서 중급 이상 산악자전거에 주로 사용되며, 또한 에어 주입 방식에 따라 솔로에어와 듀얼에어방식으로 나뉘어집니다. 솔로에어방식은 충격시 압력이 팽창하는 포지티브 부위(주로 샥 상단) 와 압력이 감소하는 네거티브 부위(주로 샥 하단) 중에서 포지티브 부위만 에어식이며 네거티브 부위는 코일이 들어가며 듀얼에어방식은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부위 모두 에어식으로서, 에어 주입구가 2개입니다. 따라서 무게는 듀얼식이 조금 더 가볍습니다.
용어 |
의미 |
트래블 |
서스펜션 포크가 압축될 수 있는 최대길이(mm). |
(Travel) | |
세그 |
자전거에 올라타고 아무 힘도 가하지 않았을때 서스펜션이 자연스럽게 압축된 길이. 보통 트래블 길이의 %로 나타내며 10~20%가 적당함. |
(Sag) | |
프리로드 (Pre Load) |
스프링은 일정한 부하를 가해주어야 복원력이 생겨 충격에 반응하게 되는데, 이 부하의 정도를 프리로드라고 함. 코일샥의 경우 프리로드 조절장치로, 에어샥은 전용 에어펌프로 조정. 프리로드 조절나사를 + 방향으로 돌릴수록 딱딱해지고 - 로 돌릴수록 부드러워짐. |
리바운드 댐핑
(Rebound Damping) |
서스펜션이 압축이 되었다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속도를 오일의 흐름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 너무 느리게 설정하면 반복되는 장애물에서 서스펜션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너무 빠르게 설정하면 바퀴의 접지력이 떨어지며 너무 통통 튀는 느낌을 받게 됨. |
컴프레션 댐핑 |
서스펜션이 압축될 때의 강도를 오일의 흐름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 서스펜션의 하드하거나 부드러운 정도를 결정하며 주로 고급형에 적용됨. |
(Compression Damping) | |
락 아웃 |
컴프레션 댐핑에서 극단적으로 오일의 흐름을 막으면 서스펜션이 최대한 팽창한 상태에서 압축이 되지 않고 잠겨지는데 이를 락 아웃함. |
(Lock Out) | |
버텀 아웃 (Bottom Out) |
서스펜션은 컴프레션이나 리바운드 한계내에서 어느정도 여유를 두고 작동되는 것이 이상적인데 스프링이 너무 무르거나 리바운드가 너무 느리게 설정되면 큰 충격이나 반복된 충격시 허용된 최대 압축한계를 벗어나 서스펜션의 기능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버텀 아웃이라 함. |
탑 아웃 (Top Out) |
위와 반대로 스프링이 너무 강하거나 리바운드가 너무 빠를 경우 스프링의 리바운드 한계를 벗어나 펴져 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탑 아웃이라 함. |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장 높이 설정의 모든 것 (0) | 2012.10.15 |
---|---|
Specification(스펙)의 모든 것 (0) | 2012.10.15 |
Hybrid(하이브리드)의 모든 것 (0) | 2012.10.15 |
Downhill(다운힐)의 모든 것 (0) | 2012.10.15 |
FREE RIDE(프리라이드) 모든 것 (0) | 201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