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전혀 모르고 통학용으로 탔을 때부터 지금까지 20년 이상을 자전거를 타고 있네요. 정말 오랫동안 탔지만, 질리지가 않는게 자전거의 매력인듯 합니다. 자전거를 몰랐을 땐 저의 몸이 느끼는 대로 브레이크를 잡고, 기어를 변경 시키고, 페달을 밟았습니다. 모든 자전거를 모르신 분들은 그러셨을 겁니다. 특히 예전에 인터넷이 발달이 안될 때는 라이딩을 더욱 몸에 의지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오늘은 그때 그 시절 몸이 시키는 대로 하는 라이딩이 아닌 좀 더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라이딩 방법을 핸들 잡는 방법, 주행의 기본 자세, 브레이크 방법, 기어 변속 방법 등에 대해서 포스팅 할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라이딩 기술의 모든 것 @ 전문가 과정 15탄 | |
기본적인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기본 기술 중 첫번째로 핸들 잡는 방법을 보면, 산악 자전거 기준에서 브레이크가 일반 자전거에 비해 제동력이 뛰어 납니다. 그래서 2개 손가락 (검지, 중지)으로 브레이크를 잡고, 남은 손가락으로 핸들을 잡아 핸들을 놓치지 않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제동력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잡는 손가락 수가 늘고 줄어 듭니다. 참고로 전 4개 손가락으로 브레이크를 잡았던 학생 시절이 있었습니다.^^
자전거를 타게 되면 다양한 길을 접하게 됩니다. 그때 필요한 기본 기술, 두번째인 주행의 기본 자세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주행의 기본 자세는 핸들과 페달, 안장에 중심을 두는 3지점 유지와 엉덩이를 들고 다양한 길에 따라 중심이동을 하는 스탠딩을 둘 수 있습니다.
3지점 유지는 앞에 말했듯이, 핸들, 페달, 안장에 중심을 둔 자세로써, 팔은 핸들에서 오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긴장을 풀고, 발도 부드럽게 페달질을 해서 무릎이나 발목 쪽에 오는 충격을 흡수 해 주는 자세 입니다. 이 때 긴장을 푼다고 브레이크에 있는 손은 느슨 해선 안됩니다. 스탠딩도 길 상태가 험한 지형 등에서 체중 이동을 해야 할 때 사용 되는 자세로써, 엉덩이를 안장에서 들어 올리고, 팔와 무릎을 조금 구부러진 상태로 스프링 처럼 사용 아여 충격이 몸에 전달 되는 것을 줄여 줍니다. 중요한건 3지점 유지는 안장에 앉아 있을때. 스탠딩은 안장에서 서 있을때 이므로 구분해서 생각해 주세요.
▲ 기본 주행 자세
이제 자전거를 탔을 때,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기술 세번째인 브레이크 거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앞에서 설명 했듯이 산악자전거의 브레이크는 제동력이 뛰어난 편입니다. 하지만, 브레이크 거는 기술은 모른다면 사고로 까지 이어 질 수가 있습니다. 제동기술의 핵심은 체중 이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페달을 지면과 수평으로 놓고 브레이크를 잡으면서 몸의 무게를 뒷바퀴 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이렇게 할 시에 제동력이 높아지고 제동거리도 짧아지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몸이 앞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 검지 한손가락만 브레이크 잡는 모습
그리고 앞.뒤 브레이크 잡을때, 3:7로 힘의 비율로 잡는 것이 좋습니다. 앞 브레이크는 뒤 브레이크 제동력이 뛰어나고 실제 제동력이 일어나는 것이기에 많은 힘의 비율로 잡을시 전복의 위험이 있기에 이점을 잘 인지 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엄지와 검지로 핸들을 잡고, 나머지 세 손가락으로 브레이크를 당기는 방법이 많이 사용 됩니다. 스피드를 즐길 땐, 검지와 중지로 브레이크를 당기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핸들을 잡습니다. 이렇게 주행 상황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잡는 요령이 있기에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기본 기술의 네번째 기어 변속에 대해서 보면, 산악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높은 기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산과 같은 비포장도로를 달리기 위해 필요한 요소 인데, 사용 방법을 알면 어느 지형이든 체력소모 및 피로를 적게 하여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앞쪽은 큰 체인링을쓰고, 뒤쪽은 작은 체인링을 습습니다. 이는 기어비가 크기 떄문에 고속에서 속도 내기에 좋지만, 저속에선 힘든 기어비 입니다. 서로 다른 톱니를 가진 것을 체인으로 엮어준 만큼 도르래와 같이 생각하면 관계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 앞 체인링
핵심 요령은 자전거를 탈 때 일반 도로에선 앞쪽 체인링을 중간에 놓고, 뒷변속기를 조작 하여 부드럽게 라이딩을 즐기 도록 합니다. 오르막 길을 오를땐 앞쪽 체인링을 낮게 놓고, 뒷 변속기를 조작해서 라이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어비 관계를 머리로만 생각 하면 어렵기에 자전거를 타면서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 좋기에 지금이라도 자신의 자전거로 연습 하시길 바랍니다.
이런 4가지 기본 기술은 자전거를 즐겁게 즐길 수 있는 필수 요소라고 생각 됩니다. 누구나 몸으로는 알고 있으나 말이나 글로 알려 주는 방법이므로 라이딩을 탈때 한번 쯤 위 내용을 생각하면서 즐기세요~^^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멧의 모든 것 (0) | 2012.10.15 |
---|---|
페달링의 모든 것 (0) | 2012.10.15 |
나에게 맞는 자전거 선택의 모든 것 (0) | 2012.10.15 |
지오메트리(구조)의 모든 것 (0) | 2012.10.15 |
나에게 맞는 자전거 설정의 모든 것 (0) | 201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