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b 구조와 명칭
▶ MTB 명칭과 기능
종류 |
구 분 |
기 능 |
브레 이크 |
브레이크 (Brake) |
자전거에 제동력을 제공해 주는 장치이다. 철선을 이용한 방식(cantilever), 유압식(hydraulic), 브이 브레이크(V-brake), 또는 유 브레이크(U-brake) 방식이 있다. |
브레이크 레버 (Brake Lever) |
케이블을 통해 브레이크 장치에 힘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아주는 레버이며, 핸들 바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레버는 조정이 가능하며, 길이도 서로 다르다. 두 손으로 작동을시키는 레버가 가장 인기가 있으며, 효과성도 좋다. | |
브레이크 케이블 (Brake Cable) |
브레이크 레버의 압력을 브레이크 장치에 전해주는 장치이며, 장력과 제동력은 바퀴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헥스 렌치(hex wrench)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한 조정은 원통형 핸들바 조정기(Handlebar barrel adjuster)를 사용하여 할 수있다. | |
브레이크 스프링 (Brake Spring) |
브레이크 패드에 밀착되어, 패드가 림이나 디스크에 밀착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조정이 가능하다. | |
브레이즈-온즈 (Braze-ons) |
브레이크 피벗, 케이블 앵커, 물병 게이지 등과 같은 사소한 물건들을 부착할 때 사용되기 위해 프레임에 붙어있는 것들을 말한다. | |
디스크 브레이 (Disk Brake) |
디스크 브레이크는 바퀴 허브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로터를 브레이크 패드로 잡아줌으로써 자전거를 멈추며, 기계식과 유압식 두 가지가 있다. | |
체인 |
체인 (Chain) |
페달의 회전력을 크랭크와 스프라켓을 통해 뒷바퀴에 전달 할 수 있도록 크랭크와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철 연결 고리 결합체이다. 구동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의 하나로서, 길이가 적절해야 하고, 정비를 통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스프라켓이 7,8,9단인지 여부에 따라서 각기 별도로 설계된 체인이 사용된다. |
체인라인 (Chain Line) |
체인 라인은 중간 체인링과 스프라켓의 중간 기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완전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되어야 한다. 일직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하부 브라켓에 스페이셔를 끼우거나, 굽은 프레임 펴기, 또는 뒷바퀴 변속장치에 대한 조정을 통해 일직선이 되도록 해야 한다. | |
체인링 (Chainling) |
톱니를 가진 링으로써 크랭크에서 체인과 결합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체인에 전달한다. 보통 3개의 링이 있으며, 가장 작은 링은 “그래니 기어(granny gear)”라고 하며 페달링이 가장 쉽게 만들어 준다. 가장 큰 링은 가장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할 때 체인과 연결되며, 거친 지형이나 산악에서 라이딩시에는 이 큰링의 품질이 좋은 것이라야 한다. | |
체인스테이 (Chainstay) |
하부 브라켓에서 뒷바퀴 허브축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튜브로서, 시트튜브 스테이와 더불어 뒷바퀴와 프레임을 연결해 주고있다. | |
크랭크,페달 |
페달 (Pedal) |
크랭크 암(Crank Arm)에 부착되어 자전거 탑승자가 발을 올리고, 힘을 가하는 부위이다. 일반 신발과 함께 사용하는 평 페달, 클리트(cleat)를 신발을 사용하는 클립리스(clipless)페달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재질 또한 다양하다. |
클립리스 페달 (Clipless Pedal) |
이들 페달은 별도의 끈이나 견인용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이 들어있는 클립을 사용하여 자전거 탑승자의 신발을 페달에 고정시켜주는 페달이다. 각 페달 별로 사용 가능한 신발이 별도로 있으며, 사용을 위해 조정을 해 주어야 한다. | |
크랭크 암 (Crank Arm) |
자전거 탑승자의 에너지를 체인에 전달하도록 페달과 크랭크 사이에 연결되어있는 납작한 레버를 말한다. | |
크랭크 쎝 (Crank Set) |
하부 브라켓, 두 개의 크랭크 암, 체인 링과 모든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있는 결합체를 말한다. | |
하부 브라켓(Bottom Bracket) |
하향 튜브(down tube)와 안장 튜브(seat tube), 그리고 체인스테이(chainstay)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있으며, 크랭크와 크랭크 세트가 결합되어있다. 조정가능 베어링이나 카세트화 된 베어링 중 한가지가 들어있다. | |
베어링 (Bearing) |
각 축과 페달, 그리고 크랭크 속에 들어서 회전을 원활하게 해준다. 각 축에 있는 베어링들은 분해 및 주유가 가능하지만, 크랭크 베어링은 씰(seal)로 봉인되어있다. | |
드라이브 트레인 (Drivetrain) |
우리 말로 ‘구동계’로 번역할 수 있으며, 크랭크 암, 체인 링, 하부 브라켓, 앞 변속기, 뒷 변속기, 프리 휠(Freewheel 또는 카세트(cassette)를 모두 포함하는 자전거 구동에 필요한 체계를 말한다. | |
디레 일러 |
디레일러 (Derailleur) |
우리 말로는 변속기라고 하며, MTB에는 앞,뒤 드레일러가 달려 있다. 앞 변속기(Front Derailleur)는 크랭크에 있는 3개의 체인링 사이에서 체인을 옮기며, 뒷 변속기(Rear Derailleur)는 뒷바퀴 구동장치에서 스프라켓의 기어 사이에서 체인을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들 드레일러는 기어 쉬프터(shifter)와 연결되어 작동한다. |
인덱스 쉬프터 (Index Shifter) |
그립이 아니라 핸들 바에 장착된 돌출되어 나온 레버를 이용하여 기어를 변속하게 해주는 기어 변속장치로서 거의 모든 MTB가 이 변속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 |
그립 쉬프트 (Grip Shift) |
우리말로 번역하면 ‘움켜잡고 변속을 시킨다’라는 뜻이며, 핸들 바의 그립 속에 변속 조정기가 들어가 있는 형태의 변속장치를 말한다. 보통 유사 MTB나 생활 자전거에서 사용된다. | |
드레일러 행어 (Derailleur- Hanger) |
뒷 드롭 아웃(Dropout)에 연결되어 있는 연장체이며, 뒷 변속기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자주 휘거나 부러져 교환을 해주어야 한다. | |
헤드 |
헤드 튜브 (Head Tube) |
프레임의 맨 앞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포크의 윗 부분이 이 헤드 튜브를 통과하여 헤드 쎝으로 프레임에 고정된다. |
헤드 (Headset) |
우리 말로 하면 ‘머리 부분 쎄트’라는 뜻이며, 포크를 프레임의 헤드 튜브에 고정시켜주는 부품이다. 뚜껑과 잠금 링, 그리고 베어링으로 구성되어있다. | |
하향 튜브 (Down Tube) |
프레임의 헤드 튜브(Head Tube)와 하부 브라켓(Bottom Bracket)을 대각선으로 서로 연결하고 있는 프레임의 한 부분이다. | |
스티어링 튜브 (Steering tube) |
우리 말로 하면 ‘방향조정용 튜브’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포크의 상단 부에 위치한 튜브로서 포크를 프레임에 결합할 때 프레임의 헤드튜브 속으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헤드 튜브 상단부에서 헤드 쎝으로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핸들 바(Handle Bar)의 움직임을 포크로 전달하여 앞 바퀴가 방향을 전환 하도록 해준다. | |
스탬 (Stem) |
핸들 바(Handle Bar)와 헤드 쎝(Headset)을 서로 연결해 주는 부분으로 용도 및 탑승자 체형에 다양한 길이로 제작된다. | |
핸들 바 (Handle Bar) |
스템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직각을 이루면서 부착되어 자전거의 방향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일자 형의 긴 막대기를 말하며, 이 곳에 브레이크 레버, 변속 장치 등 각종 조정 장치가 부착된다. | |
스윙 암 (Swingarm) |
풀 서스펜션 MTB의 뒷 삭(rear shock)에 부착되어 움직이면서 뒷바퀴의 완충 작용을 하는 긴 막대를 말한다. | |
탑 튜브 (Top tube) |
우리 말로 하면 ‘상부 튜브’라고 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맨 위 부분에 있으면서, 시트 튜브(Seat tube)와 헤드 튜브(Head tube)를 횡으로 연결해 주고 있다. 이 튜브의 길이가 자전거의 길이를 결정한다. | |
포크, 프레임 |
포크 (Fork) |
앞 바퀴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부품을 말한다. 고정식(rigid) 또는 완충식(suspension)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완충식에는 탄성물질 이용식(elastomer), 공기와 오일 혼용(air oil), 그리고 순수한 공기압만 사용하는 SID(시드)식 등이 있다. |
프레임 (Frame) |
자전거의 모든 부품들이 부착되는 자전거의 몸체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만드는 재질에는 알루미늄, 티타늄, 크롬 몰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 |
드랍 아웃 (Dropout) |
포크와 프레임의 뒷 삼각형 끝 부분에 있는 하부가 개방된 원형 홈으로 앞 바퀴와 뒷 바퀴 허브 축이 각각 결합되는 부분이다. | |
뒷 부분 삼각형 (Rear Triangle) |
프레임의 뒷 부분의 삼각형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시트 튜브(Seat Tube), 시트 스테이(Seatstay), 그리고 체인 스테이(Chainstay)로 이루어져 있다. | |
휠 |
프리휠 (Freewheel) |
뒷 바퀴의 허브 몸체에 붙어있는 기어 링의 뭉치를 말하는 것이다. 뒷 바퀴의 기어비를 결정해 준다. |
자키 휠(Jockey Wheel) |
동그란 모양의 작은 기어로서 뒷드레일러(뒷 변속기)에 두 개가 붙어있으며, 그 위로 체인이 지나간다. 변속 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움직이며, 카그(또는 카세트)의 기어간에 체인을 이동 시킨다. | |
림 (Rim) |
바퀴 외부 쪽 원을 이루고 있는 부품을 말하며, 타이어가 씌워지는 부분이다. 대부분 강화 알루미늄 재질이지만, 기타 합금이나 다른 신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림 브레이크 방식의 경우 브레이크 패드가 림의 표면에 직접 닿아 제동력을 발휘한다. | |
스프라켓 (Sprocket) |
많은 톱니를 바깥 쪽 원 표면에 가진 원형의 링 결합체로서 체인이 닿아 동력을 뒷바퀴에 직접 전달해 주는 장치이다. 보통 카그(Cog), 프리 휠(Freewheel)이라고도 불린다. | |
안장 |
안장 (Saddle) |
보통 seat라고 하기도 하는데, 탑승자가 앉아서 페달링을 하는 작은 의자이다. 주로 가죽이나 비닐로 만들어져 시트 포스트(Seat Post)에 결합되어 프레임의 시트 튜브(Seat tube)에 결합된다. |
시트 포스트 (Seatpost) |
안장이 부착되는 길다란 봉으로 프레임의 시트 포스트 튜브에 연결된다. 어떤 종류는 그 자체에 완충 장치가 달려있기도 하다. | |
시트 튜브 (Seat tube) |
시트 포스트가 삽입되어 안장을 프레임에 고정 시켜주는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한 하향 튜브를 말하며, 보통 이 길이를 기준으로 MTB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S, M, L size) | |
기타 |
퀵 릴리즈 (Quick Release) |
우리 말로는 ‘빠르게 놓아준다’ 또는 ‘신속하게 풀어준다’라는 뜻이며, 바퀴를 포크나 프레임 뒷 드랍 아웃(Dropout)에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게 바퀴를 결합하고, 때어낼 때 사용되는 레버이다. |
스키워 (Skewer) |
허브를 신속하게 탈,부착 하게 해 주는 철 막대 또는 탄성 물질을 사용하는 완충장치에서 탄성 물질을 중간에서 지탱해 주는 철 막대를 말한다. | |
휠 베이스 (Wheel base) |
앞 뒤 바퀴의 축간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자전거의 조향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 |
프레스타 벨브 (Presta Valve) |
MTB 타이어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벨브를 말한다. 프레스타 방식의 벨브는 가장 가느다란 형태이며, 공기를 주입하기 전 머리 부분의 작은 나사를 풀어서 느슨하게 하여야 하며, 전용 펌프 또는 어댑터를 사용해야함. | |
슈레더 벨브(Schrader- Valve) |
프레스타(Presta) 방식 벨브와 함께 타이어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벨브이며, 보통 생활 자전거에 사용되지만, 공기압을 사용하는 완충장치(Suspension)에는 이 방식의 벨브가 사용된다. 일반 차량에도 대부분 이 방식이 사용되며, 일반 펌프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 |
케이블 (Cable) |
앞,뒤 브레이크 케이블, 앞,뒤 변속기 케이블이 있으며, 프레임의 케이블 가이드를 통해 핸들에서 해당 부품까지 연결된다. | |
페럴 (Ferrule) |
케이블 하우징의 끝 부분에 씌워져 있는 뚜껑을 말한다. |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도 어려운 자전거도난 예방법 (0) | 2013.04.09 |
---|---|
자전거를 타는 기본 자세 (0) | 2013.01.27 |
트레일 자전거 시작과 정의 (0) | 2012.10.15 |
휠 변형의 조정 이해 (0) | 2012.10.15 |
자전거 안장 각도 설정 (0) | 201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