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B 기술·정비

트레일 자전거 시작과 정의

힉스_길메들 2012. 10. 15. 12:39

트레일 자전거 시작과 정의@ 전문가 과정 29탄

 

 

 

국내 트레일자전거 시작  

트레일(trail) 자전거는 국내에서 산악자전거에 분류되어 인식이 된지는 불과 몇 년 되지 않았다. 사실 지금도 트레일 자전거 용어 자체를 모르는 분들이 많이 있다. 대략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국내 대표 산악자전거 종류는 크로스컨트리(XC), 올마운틴, 프리라이드, 다운힐만을 구분 하였다.  하지만, 이후 국내 산악자전거 시장이 점점 커짐에 따라 산악자전거에 트레일자전거를 구분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대부분 산악자전거 유명 브랜드 업체에서도 매년 트레일을 구분하여 출시하고 있다. 이 시기는 해외 산악자전거 업체들이 국내에 활발히 지사를 설립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는 국내 트레일자전거의 탄생과도 연결시켜 볼 수 있다. 

  

 

국내 지형과 트레일 자전거 관계

국내에서 즐길 수 있는 산악 코스는 일반적으로 험하지 않은 작은 산들이 많이 있고, 그 산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다운힐과 프리라이드를 즐기기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이런 지형은 크로스컨트리와 올마운틴을 즐기기엔 최적의 코스이다.

 

크로스컨트리로 도로와 크지 않는 장애물의 산악라이딩을 즐기기 좋고, 올마운틴으로 크고 작은 장애물을 돌파하고 긴 트레블과 풍부한 느낌의 서스펜션으로 업힐과 다운힐 능력 소화할 수 있어 지형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산 전체를 라이딩할 수 있다.  

 

그래서 크로스컨트리와 올마운틴은 국내에서 많이 즐기고 있는 산악자전거이다. 또한, 이런 상황 속에서 험하지 않고, 작은 산이 많은 국내에서 즐기기에 가장 적합한 트레일 자전거가 유명 브랜드 업체 국내 지사를 통해 홍보되어 최근 사용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다. 

 

 

 

트레일 자전거 정의와 구분

트레일 자전거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트레일 자전거(trail bicycle) 정의는 trail 즉, 오솔길, 산책로 등의 이런 험하지 않은 길을 주로 라이딩하는 자전거를 말한다. 그래서 경사가 심하지 않은 오르막과 내리막, 크지 않은 장애물의 코스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가볍고 트레블은 제조사 별로 다르지만, 크로스컨트리보다 길고 올마운틴 보다 짧은 120mm~140mm로 적용되어 있다. 즉, 아래와 같이 크로스컨트리, 트레일, 올마운틴, 프리라이드, 다운힐로 구분할 수가 있다. 

 

구분

특징

크로스컨트리
(Cross country)

. 트레블 60~100mm
. 정해진 트랙을 가지 않고 산악지형을 횡단하는 의미의 자전거
. 가볍고 높은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하여 도로 장거리 라이딩과 힐 클라이밍에도 이용
. 하드테일(앞 샥만 존재), 풀서스펜션(앞,뒤 샥 존재)로 나뉨

트레일
(Trail)

. 트레블 120~140mm(제조사 별로 다르지만, XC< 트레일 <올마운틴)
. 오솔길, 산책로 등의 이런 험하지 않은 지형을 라이딩하는 의미의 자전거
. 경사가 심하지 않은 오르막과 내리막, 크지 않은 장애물의 코스에 적합하게 설계
. 풀서스펜션 구성(앞, 뒤샥 존재)

올마운틴
(All mountain)

. 트레블 140~160mm
. 어떤 지형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산 전체를 라이딩하는 의미의 자전거
. 크고 작은 장애물을 돌파하고 긴 트레블과 풍부한 느낌의 서스펜션으로 어떤 지형의 업힐과 다운힐을 소화할 수 있음
.풀서스펜션 구성(앞, 뒤샥 존재)

프리라이드
(Freeride)

. 트레블 160~200mm
. 자유롭게 탈 수 있다는 의미의 자전거
. DH(다운힐)에 가깝고 점프, 드랍, 다운힐, 올마운틴을 즐길 수 있게 설계
. 풀서스펜션 구성(앞, 뒤샥 존재)

다운힐
(Down hill)

. 트레블 200mm이상
. 언덕 및 산에서 내려온다는 의미의 자전거
. 가장 긴 트레블을 통해 가파른 경사와 지형의 충격 흡수력 좋음
. 풀서스펜션 구성(앞, 뒤샥 존재)

 

▲산악자전거 종류 구분 

 

▲크로스컨트리 자전거 - 트레블 100mm 

▲ 트레일 자전거 - 트레블 140mm 

 

 

▲ 올마운틴 자전거 - 트레블 150mm 

 

▲ 프리라이드 자전거 - 트레블 180mm 

 

 

▲ 다운힐 자전거 - 트레블 203mm

 

 

위와 같이 산악자전거를 라이딩 이용 지형과 용도, 트레블을 통해서 구분할 수가 있지만, 용도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서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트레블을 통해서 구분한다. 트레일 자전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더 많은 트레일 자전거 정보를 제 블로그를 통해 그 특징과 리뷰에 관해서 포스팅을 여러차례 나눠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사진출처: www.giant-korea.com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를 타는 기본 자세  (0) 2013.01.27
MTB 구조와 명칭 및 기능  (0) 2012.10.27
휠 변형의 조정 이해   (0) 2012.10.15
자전거 안장 각도 설정  (0) 2012.10.15
시마노 부품 등급 MTB   (0) 201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