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식 vs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 전문가 과정 23탄
디스크 브레이크 - 기계식과 유압식으로 나뉜다.
지난 시간의 포스팅 한 내용 중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도 내부적으로 제동방식에 의해서 2가지 종류로 나뉜다고 하였습니다. 기계식과 유압식 이렇게 나뉩니다. 자전거를 많이 타신 분들은 이 차이점을 잘 아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산악자전거에 이제 입문하신 분들은 이 차이점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저도 고수님들 처럼 잘 알지는 못하기에 혹시라도 부족한 점이 있으면 아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유압식은 오일로 작동한다.
유압식은 브레이크 레버에서 패드가 있는 곳까지 오일이 가득 차있습니다. 그래서 브레이크 레버를 잡아 당기면 그 압력에 의해서 오일이 유압호스를 따라 캘리퍼의 피스톤을 밀어내게 됩니다. 그 힘으로 패드가 디스크(로터)에 마찰력을 일으켜서 제동하는 방식 입니다. 제동력은 케이블 선으로 작동이 되는 다른 브레이크 대비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레버감도 좋으며, 제동에 필요한 힘도 조금 덜 합니다. 또한, 잔고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장점 입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관리가 쉽지 않고, 문제가 발생되면 손쉽게 정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이 유압식은 디스크 브레이크 말고도 림 브레이크에서도 사용이 됩니다.
▲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기계식은 케이블(쇠줄)로 작동한다.
기계식은 브레이크 레버에서 패드가 있는 곳까지 케이블 즉, 쇠줄이 연결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레버를 잡아 당기면 게이블을 잡아 당기는 힘으로 캘리퍼의 피스톤이 밀려나와 디스크를 잡게 되어 제동하는 방식 입니다. 림 브레이크 보다는 제동력이 좋지만, 유압식 브레이크 보다는 거의 차이가 나기 않을 정도로 제동이 조금 떨어집니다.
제동력 비교를 하면, 림 브레이크 <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로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동력이 좋습니다. 장점은 정비가 비교적 쉽고, 브레이크 레버도 V 브레이크 레버를 그대로 쓸수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편 입니다.
▲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기계식 : 유압식 = 케이블(쇠줄) : 오일
결론적으로, 이런 공식이 성립 됩니다. 나중에 헷깔리지 않아야 할텐데 걱정이네요. 기억력이 나빠서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게 되거든요. 원리를 이해하면서 마음으로 느껴야겠습니다. 기계식은 쇠줄, 유압식은 오일로 작동한다 라는 것을 머리에 새기고 오늘의 포스트는 이만 마치겠습니다.
'MTB 기술·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 페달 vs 클릿 페달(클립리스 페달) (0) | 2012.10.15 |
---|---|
자전거 캐리어 지붕형 vs 후미형 (0) | 2012.10.15 |
자전거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해서 (0) | 2012.10.15 |
자전거 림 브레이크에 대해서 (0) | 2012.10.15 |
자전거에 얽힌 기계적 원리의 모든 것 (0) | 201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