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는 추운 날씨 탓에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게 마련이다.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을 일부러 만들어야 하는 요즘과 같은 바쁜 시대에 겨울은 오히려 가족을 집으로 모이게 해주는 고마운 계절인 것. 이런 기회를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대신 가족의 단합을 위한 시간으로 활용해보자. 방학을 맞은 아이들, 귀가 시간이 빨라진 남편과 소박하지만 맛있는 음식을 즐기고 다 함께 몸을 비비며 재미있는 놀이도 해볼 것. 바깥 활동에 비해 활동량이 적어 날로 늘어가는 몸무게를 줄여줄 홈 피트니스 동작까지 따라 하다 보면 24시간이 모자랄지도 모른다. 우리 집 겨울 라이프 사용 설명서가 여기 있다.
Day Food
아이와 함께 즐기는 달달한 핫초코 파티
|
핫초코 마시멜로 퐁듀
* 재료 ; 시판 핫초코가루 2큰술, 우유 1컵, 다크 초콜릿 1과 1/2컵, 마시멜로 10개
* 만들기
1. 다크 초콜릿은 잘게 썬다.
2. 우유는 소스 팬에 부어 약한 불로 뭉근하게 끓인다.
3. ②의 우유의 온도가 조금 오르기 시작하면 시판 핫초코가루와 ①의 다크 초콜릿을 넣고 거품기로 저어가며 끓인다. 3 초콜릿이 다 녹아 전체적으로 골고루 섞이면 끓기 직전에 불에서 내린다.
4. ③의 초콜릿을 볼에 붓고 마시멜로를 곁들여 찍어 먹는다.
|
핫초코푸딩
* 재료 ; 시판 핫초코가루·옥수수녹말 3큰술씩, 우유 2와 1/2컵, 생크림 1/2~2/3컵, 설탕 2큰술, 바닐라에센스 1/4작은술, 코코아가루·소금 약간씩
* 만들기
1. 냄비에 우유, 옥수수녹말, 설탕, 소금, 시판 핫초코가루를 넣고 거품기로 젓다가 끓기 시작할 때부터 1분간 더 끓인 뒤 불에서 내려 얼음물이 담긴 볼에 넣어 가끔 저으면서 10분간 식힌다.
2. 푸딩 그릇에 ①을 7부 정도 붓고 냉장고에 넣어 2시간 정도 식힌다.
3. 생크림에 바닐라에센스를 넣고 거품기로 저어 단단한 거품을 만든다.
4. ②의 푸딩 위에 ③의 생크림을 얹고 코코아가루를 뿌린다.
|
핫초코
* 재료 ; 시판 핫초코가루 60~80g, 우유 2와 1/2컵
* 만들기
1. 소스 팬에 우유를 붓고 약한 불로 뭉근하게 끓인다.
2. 우유의 온도가 조금 오르기 시작하면 시판 핫초코가루를 넣고 거품기를 이용해 잘 저어가면서 끓인 다음 거품이 보글보글 올라오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컵에 따른다.
추러스
* 재료 ; 시판 냉동 추러스 7~8개, 설탕 4큰술, 시나몬가루 2작은술
* 만들기
1. 시판 냉동 추러스는 실온에서 서서히 해동한 뒤 기름을 두르지 않은 팬에 올려 중간 불에 노릇하게 굽는다.
2. 분량의 설탕과 시나몬가루를 섞어 체에 내리거나 믹서에 갈아 ①의 추러스에 골고루 묻힌다.
Night Food 어묵 술상으로 남편과 데이트 기분 만끽하기
|
와인과 즐기는 어묵샐러드
* 재료 ; 어묵 200g, 게맛살 4줄, 방울토마토 5개, 로메인 상추 2장, 오이·색깔별 파프리카 1/4개씩, 슬라이스 아몬드 2큰술, 소스(마요네즈 3큰술, 꿀 2큰술, 진간장 1/2큰술, 씨겨자 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 만들기
1. 어묵은 끓는 물에 데쳐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2. 게맛살은 2cm 길이로 토막 내고 방울토마토는 이등분한다. 로메인 상추는 먹기 좋은 크기로 찢는다.
3. 오이는 길이로 반 갈라 씨를 긁어낸 뒤 0.7cm 폭으로 썰고 색깔별 파프리카는 어묵과 비슷한 크기로 썬다.
4. 슬라이스 아몬드는 기름을 두르지 않은 팬에 노릇하게 볶는다,
5. 볼에 분량의 소스 재료를 넣고 고루 섞는다.
6. ⑤의 소스에 ①, ②, ③의 모든 재료를 넣고 가볍게 버무려 그릇에 담고 ④의 슬라이스아몬드를 뿌린다.
|
사케와 잘 어울리는 어묵나베
* 재료 ; 시판 꼬치탕용 어묵 320g, 무 200g, 곤약 80g, 달걀 2개, 다시마 10×10cm 1장, 당근 1/4개, 가쓰오부시 1과 1/3컵, 물 9컵, 쑥갓 약간, 연겨자 적당량, 소스(간장 4큰술, 청주 3큰술, 설탕 1큰술, 소금 약간)
* 만들기
1. 냄비에 분량의 물과 다시마를 넣고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를 건진 뒤 불을 끈 다음 가쓰오부시를 넣고 5분간 우린 뒤 체에 걸러 국물만 준비한다.
2. 곤약은 7×3cm 크기로 썬 뒤 다시 0.5cm 두께로 썰고 가운데 칼집을 넣은 다음 한 번 꼬아 타래 모양을 만든다. 무와 당근은 밤알만 한 크기로 썰어 모서리를 둥글게 다듬는다. 달걀은 완숙으로 삶아 껍질을 벗긴다. 어묵은 꼬치에 꿰어 준비한다.
3. 끓는 물에 ②의 무와 당근을 넣고 끓이다가 반 정도 익으면 건지고 곤약과 어묵은 살짝 데쳐 건진다.
4. 냄비에 ①의 국물 3컵과 소스 재료 중 간장 3큰술, 청주 2큰술, 설탕 1큰술을 넣고 ③의 무와 당근, 곤약, ②의 달걀을 넣어 약한 불에 10분 정도 조린다. 이때 조린 달걀은 반으로 썰어둔다.
5. 전골냄비에 ④의 무와 당근, 곤약, ②의 어묵꼬치를 담고 ①의 국물 5~6컵과 소스 재료 중 간장 1큰술, 청주 1큰술을 넣어 중간 불에 3분 정도 끓인 뒤 설탕과 소금으로 간한 뒤 불에서 내린다.
6. ⑤에 ④의 달걀과 쑥갓을 넣고 연겨자를 곁들인다.
|
맥주 안주로 제격인 어묵 치즈구이
* 재료 ; 가마보코 어묵 4개, 쪽파 2뿌리, 모차렐라치즈 1/3컵, 데리야키소스(간장·황설탕·맛술·청주·유자청 1큰술씩), 꼬치 4개, 식용유 적당량
* 만들기
1. 가마보코 어묵은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 기름을 뺀 뒤 꼬치에 끼우고 쪽파는 송송 썬다.
2. 볼에 분량의 데리야키소스 재료를 넣고 고루 섞는다.
3.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①의 가마보코 어묵을 넣어 앞뒤로 살짝 굽다가 ②의 데리야키소스를 넣고 끓어오르면 약한 불로 줄인 뒤 뒤집어가며 2~3분간 조린다.
4. ③의 국물이 자작해지면 가마보코 어묵 위에 모차렐라치즈를 올리고 뚜껑을 덮어 치즈가 녹을 때까지 구운 다음 ①의 쪽파를 뿌린다.
|
소주 한잔 생각나는 김치 유부주머니 넣은 어묵탕
* 재료 ; 어묵 약간, 배추 잎 10장, 미니 당근 10개, 유부주머니 8개, 표고버섯(작은 크기) 4개, 무 1/4개, 다시마 10×10cm 1장, 청양고추 1개, 간장 1큰술, 물 6컵,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 만들기
1. 어묵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건져 꼬치에 끼운다.
2. 무는 껍질을 벗겨 한 입 크기로 썰고 미니 당근은 깨끗이 씻는다.
3. 표고버섯은 먼지를 털어 씻고 배추 잎과 청양고추는 깨끗이 씻는다.
4. 냄비에 분량의 물을 붓고 다시마를 넣어 끓이다가 국물이 우러나면 다시마를 건져내고 ②의 무와 미니 당근을 넣어 푹 끓이다가 무가 거의 다 익으면 ③의 청양고추를 넣고 한소끔 끓인 뒤 간장과 소금으로 간한다.
5. 냄비에 ①의 어묵, ③의 배추 잎과 표고버섯, 유부주머니를 모양내어 담고 한소끔 더 끓인다.
김치 유부주머니 이렇게 만들어요!
* 재료 ; 유부 8~10장, 물기를 꼭 짠 김치 200g, 당면 50g, 미나리(줄기 부분) 8~10줄기, 소금 약간, 식용유 적당량, 양념(설탕 2큰술, 진간장 1~2큰술, 참기름 2작은술,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1/3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 만들기
1. 당면은 물에 담가 30분간 충분히 불린 뒤 끓는 물에 넣어 속이 투명해지도록 데친 다음 건져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짜고 잘게 다진다. 미나리 줄기도 데쳐 찬물에 담근다.
2. 김치는 잘게 썰어 볼에 넣고 ①의 당면을 함께 넣어 골고루 섞는다.
3.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②와 양념 재료 중 참기름을 제외한 모든 재료를 넣어 고루 볶다가 불에서 내린 뒤 참기름을 넣어 고루 섞는다.
4. 유부는 뜨거운 물에 넣어 살짝 데쳐 물기를 꼭 짜고 윗면을 가위로 잘라 속을 펼쳐 주머니가 되도록 모양을 만든다.
5. ④의 유부 속에 ③의 소를 채워 넣고 ①의 데친 미나리 줄기로 잘 여며 묶는다.
<■진행 / 박솔잎 기자 ■사진 / 김영길, 안진형(프리랜서) ■제품 협찬 / 밀크야(www.milkya.co.kr), 쁘띠슈(02-511-8611), 스와들디자인 by 디밤비(www.dibambi.com) ■요리&스타일링 / 김상영(noda+, 02-3444-9634), 이보라·박영주(어시스트) >
'맛집·멋집n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향처럼 그리운 맛 청국장 (0) | 2013.12.13 |
---|---|
푸짐한 인심에 좋은 식재료만 고집하는 토담집[등촌동 맛집] (0) | 2013.12.13 |
영양도 정성도 푸짐해요 (0) | 2013.12.12 |
'한식대첩'에서 배운 참 쉬운 손님상 (0) | 2013.12.12 |
전통 발효음식 전문가 박종숙의 김치백서 우엉김치 (0) | 201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