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링핀은 처음에 10개가 서 있습니다. 우리는 이 핀들을 공을 투구해서 넘기는 숫자에 따라 점수로 계산 합니다. 2번의 투구를 해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트려야 하는데 만약 처음 한번에 10개를 모두 쓰러트린다면 스트라이크라고 하고 이때는 한번의 투구로 한 프레임이 끝나게 됩니다.
만약 첫번째 투구로 10개의 핀을 두 쓰러트리지 못하고 1개의 핀이라도 남았다면 두번째 투구에 이것을 모두 쓰러트려야 합니다. 두번째 투구에 남은 핀을 모두 쓰러트리면 스페어 처리라고 합니다. 만약 두번째 투구에도 핀을 모두 쓰러트리지 못했다고 한다면 오픈 이라고 하고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참고로 첫번째 투구를 1구 혹은 초구라고 말하고 두번째 투구를 2구라고 말합니다. 이런식으로 총 10번의 프레임이 끝나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가지고 한게임의 점수를 계산하게 됩니다. 즉 1게임은 10개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픈 : 두번의 투구에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트리지 못하고 핀을 남긴 경우 (숫자 혹은 - 로 표시, 0 대신 - 를 씁니다)
스페어 : 두번째 투구(2구)에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트린 경우 ( / 로 표시)
스트라이크 : 첫번째 투구(1구)에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트린 경우 ( X 로 표시)
오픈의 경우는 넘어트린 갯수만큼 그 프레임에 점수가 그대로 반영이 됩니다. 스페어는 기본 10점을 무조건 + 해주고 다음 프레임 첫번째 투구(1구)에 넘어트린 점수를 합산해서 해당 프레임의 점수를 반영합니다. 스트라이크는 기본점수 10점을 +해주고 그 다음 프레임 1구와 2구를 모두 더해줍니다. 스트라이크와 스페어 점수 계산은 틀리니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픈 점수 계산 : 넘어트린 핀의 갯수만큼 해당 프레임에 반영합니다.
스페어 점수 계산 : 기본 10점에 다음 프레임 1구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를 +해서 해당 프레임에 반영합니다.
스트라이크 점수 계산 : 기본 10점에 다음 프레임 1구와 2구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를 +해서 해당 프레임에 반영합니다.
그럼 다음 그림을 한번 보시죠.
위의 점수표 중에서 빨간 테두리가 쳐진 것이 프레임 입니다. 1프레임에는 1구에 9개의 핀을 넘기고 2구에 스페어 처리를 못하고 오픈을 했군요. - 은 오픈 표시라고 위에 설명드렸죠? 오픈의 점수는 해당 프레임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니까 그대로 9점이 1프레임 점수가 됩니다. 2프레임에도 오픈을 기록했군요. 1구에 4개의 핀을 넘어트리고 2구에도 4개 즉 총 8개의 핀을 넘어트려서 2프레임에는 8점이 해당 프레임의 점수입니다.
그런데 17점이라고 적혀 있네요. 17점은 1프레임 점수까지 합산 해서 나온것입니다. 즉 1프레임 9점 + 2프레임 8점 = 17점이 되는 것이죠. 이건 앞으로 계속 누적 될 것입니다. 3프레임에는 스페어 처리를 했군요. 스페어는 무조건 10점을 +하고 다음 프레임(여기서는 4프레임이 되겠죠?) 1구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를 더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3프레임은 스페어 기본점수 10점 + 4프레임 초구에 넘어트린 4점 = 14점이 3프레임 점수가 됩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2프레임까지의 누적 점수 17점 + 3프레임 해당 점수 14점을 합쳐서 3프레임 누적 점수가 31점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5프레임에는 G라는 글자가 나오네요. G는 거터(Gutter)의 표시입니다. 거터란 레인의 양옆에 있는 또랑을 거터라고 합니다. 그래서 G라고 표시가 뜨면 무조건 0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비슷한 표현으로 F가 나올때도 있습니다. F는 파울(Foul)이라고 합니다. 볼링에서 레인이 시작하는 곳에 보면 까만 선이 있는데 이것이 파울라인 입니다. 이곳으로 발이 넘어가면 공식 시합에서는 파울 처리가 되면서 0점 처리가 됩니다. 즉, F도 0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간혹 숫자앞에 S가 붙는 경우도 있는데 이 S는 스플릿(Split)의 약자이며 첫 투구를 하고 핀과 핀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스페어가 남게 되면 S라는 글자와 함께 숫자가 표시 됩니다. 그러므로 S라는 글자는 점수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0 점과 동일한 표시들 : - (오픈), G (거터), F (파울)
6프레임에는 스트라이크가 나오는군요. 스트라이크는 기본 10점에 다음 프레임(여기서는 7프레임) 1구와 2구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를 합하면 됩니다. 스페어는 다음 프레임 1구만 더하고 스트라이크는 다음 프레임 1구와 2구를 모두 더하니까 헷갈리지 마세요. 아무튼 10점에다가 다음 프레임 1구에 9점, 2구에 1점(스페어 처리를 했으므로)을 더해서 6프레임 해당 점수는 20점이 됩니다. 5프레임 44점에 20점을 더해서 누적 점수는 64점이 나오게 된것이죠.
점수계산의 한가지 팁을 설명 드리면 스트라이크 (X) 다음에 스페어 (/) 가 오게 되면 해당 프레임은 무조건 20점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비슷한 경우로 스페어 다음에 스트라이크가 와도 해당 프레임은 20점입니다.
점수 계산 하실 때 이것을 참고하시면 더 빠르게 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스페어 다음에 스페어는 틀립니다. 스트라이크 다음에 스트라이크도 이 경우와는 틀리니 유념 하시기 바랍니다.
20점이 되는 경우 : 스트라이크 다음에 스페어 처리를 한 경우, 스페어 다음에 스트라이크를 친 경우
자 이제 마지막 10프레임을 한번 보겠습니다. 10프레임은 다른 프레임과 다르게 세개의 칸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만약 10프레임에 스트라이크를 기록 했다면 다음 1구와 2구의 점수 모두 합산 해야 하기때문에 스트라이크를 기록 했다고 끝나는게 아니라 보너스 투구를 해서 10프레임 해당 점수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같은 맥락으로 10프레임에 두번의 투구로 스페어 처리를 했다면 그 다음 프레임이 없으므로 보너스 투구 한번을 통해서 10프레임의 점수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10프레임은 보너스 투구를 하는 칸까지 총 3칸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10프레임에 스트라이크 혹은 스페어를 처리 했다면 총 3번의 투구를 해야 하지요. 위의 사진에서 10프레임에 스페어 처리를 했습니다. 기본점수 10점에 보너스 투구로 스트라이크를 쳤죠? 합쳐서 20점이 됩니다. 결국 10프레임 해당 점수는 20점이 되고 9프레임까지의 누적점수 118점에 20점을 더해서 138점이 이 게임의 최종 점수가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스트라이크를 연속해서 치는 경우 점수 계산법 입니다. 헷갈리기 쉬우니 잘 보시기 바랍니다. 스트라이크가 두개가 연속으로 나오면 더블이라고 합니다. 세개가 연속으로 나오면 터키라고 하고 네개 연속으로 나오면 포 배거 라고 합니다. 다섯개는 파이브 배거, 여섯개는 식스 배거, 일곱개는 세븐 인 어 로우, 여덟개는 에잇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연속적인 스트라이크), 아홉개는 나인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열개는 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열한개는 일레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열두개는 퍼펙트 입니다.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대신 그냥 인 어 로우를 쓰기도 합니다.
용어 정리는 여기까지 하고 점수를 보자면 더블의 경우는 기본 점수 20점에 다음 프레임 1구를 합산 합니다. 그리고, 터키부터는 무조건 30점입니다. 한 프레임의 최대 점수가 그래서 30점이 되고 모든 프레임 스트라이크를 기록한 퍼펙트는 그래서 300점이 되게 됩니다.
더블 : 2 연속 스트라이크
터키 : 3 연속 스트라이크
포배거 - 식스배거 : 4- 6 연속 스트라이크
세븐 - 일레븐 인어로우 : 7 -11 연속 스트라이크
퍼펙트 : 12 연속 스트라이크
더블 점수 계산법 : 기본점수 20점 + 더블 이후 프레임 1구에 넘어트린 핀 갯수
터키 - 퍼펙트 점수 계산법 : 해당 프레임 30점
자 이제 위의 점수표를 한번 계산 해 봅시다. 먼저 1프레임의 경우는 2연속 스트라이크 즉, 더블이 되겠습니다. 더블은 기본 점수 20점 + 더블 이후 프레임 1구에 넘어트린 핀의 갯수(여기서는 3프레임 1구) 8점을 더해서 28점이 되겠습니다. 2프레임의 경우는 그냥 스트라이크 입니다. 2프레임도 더블로 계산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더블 점수가 적용되는 것은 앞의 1프레임 하나이고 2프레임은 더블이 아닌 그냥 스트라이크 점수 계산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2프레임은 스트라이크니까 기본 10점 + 다음 프레임 1구와 2구 핀 갯수 10점을 보태서 20점이 되고 1프레임과 누적해서 총 48점이 되겠습니다. 3프레임은 스페어로 계산 하시면 되고 4프레임의 경우는 터키입니다. 터키는 무조건 30점이니까 30점을 해당 프레임에 더해 주시면 되고 5프레임은 더블이 됩니다.
그래서 20점 + 더블 이후 1구에 넘어트린 점수 9점을 더해서 해당 프레임은 29점이 되고 4프레임 누적점수 98점 + 29점 = 127점이 되는 것입니다. 7프레임도 스페어로 계산하시면 되고 8프레임은 포배거 입니다. 터키 이후에는 무조건 30점이니까 포배거도 30점이 되겠죠. 그래서 7프레임까지 점수 167점에 30점을 더해서 197점이 되는 것입니다. 9프레임은 터키이니까 당연히 30점이 되고 197점 + 30점이 되니까 227점이 되구요 10프레임은 더블입니다. 그래서 기본 점수 20점에 마지막 보너스 투구 6점을 더해서 26점이 10프레임 점수가 되어서 9프레임까지 점수 227점 + 26점을 해서 253점이 위 게임의 총 점수가 되겠습니다. 스트라이크를 연속해서 칠 경우 터키, 더블, 스트라이크는 다 따로 계산 하는 것만 주의 하시면 그다지 어려울것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점수 계산은 처음에는 헷갈려서 자꾸 틀리는데 계속 연습하시면 그다음에는 암산으로도 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점수표 나온 것으로 자꾸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총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오픈 : 넘어진 핀 갯수
스페어 : 10점 + 다음 프레임 1구에 넘어트린 핀 갯수
스트라이크 : 10점 + 다음 프레임 1,2구에 넘어트린 핀 갯수
더블 : 20점 + 다음 다음 프레임 1구에 넘어트린 핀 갯수
터키이후 : 해당 프레임 30점
퍼펙트 : 300점
가터(G), 파울(F), 오픈(-) : 0 과 같다.
내용추가
김지영님의 댓글에 좋은 말씀이 있어서 추가로 올려드립니다. 점수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이해하시기 더 쉽게 잘 설명 해주셨네요. 스페어시 점수는 그 프레임에 쓰러뜨린 10개 더하기 바로 다음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의 개수이고, 스트라이크시는 그 프레임의 쓰러뜨린 10개 + 바로 다음의 두번의 투구 동안 쓰러뜨린 핀의 개수니다. 따라서 더블은 20점+다음 다음 1구 개수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역시 그 프레임에 쓰러뜨린 개수 10개 더하기 다음 투구에 쓰러뜨린 10개 + 또 그다음에 쓰러트린 x개 입니다. 터키역시 그 프레임의 10개 + 다음투구의 10개 + 다음투구의 10개를 더해 그 프레임이 30점이 되는 것입니다.
볼링의 점수계산은 간략히 한문장으로 정리됩니다. "스페어는 이어지는 1번의 투구에 쓰러뜨린 개수를 더해주고, 스트라이크는 이어지는 2번의 투구에 쓰러뜨린 개수를 더해주고, 10프레임은 끄냥 쓰러트린 개수대로만 점수가 된다."
'건강한 삶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성피부, 건성피부, 민감성피부 손질법 (0) | 2015.06.04 |
---|---|
피부관리에서 피부와 영양 (0) | 2015.06.04 |
스페어 처리법 (0) | 2015.03.25 |
볼링 훅 만들기 - 리프팅과 턴 (0) | 2015.03.25 |
볼링 스트라이크 존 찾기 (0)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