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의 절차와 지방 및 축문 축문이란 제례나 상례 때 신에게 축원을 드리는 글. 예서에 따르면, 의식에 쓰이는 글을 축문·축사(祝辭)·고사(告辭)로 구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세 가지를 모두 축(祝)이라는 말로 구별 없이 사용해 왔다. 그러나 엄밀하게 구분하면 축문만이 신에게 축원을 드리는 글이다. 축사는..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16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중소기업 이직한 50대 회사원, 급여 줄어 노후대책 걱정인데… Q. 서울에 거주하는 50대 회사원 남모씨. 부인과 대학생 자녀 2명을 둔 외벌이 가장으로 홀로 된 아버지를 함께 모시고 살고 있다. 대기업에 다니다 은퇴를 앞두고 중소기업으로 옮긴 이후 급여가 줄어들어 5인 가족이 살기에 조금 부족한 상황이다. 은퇴자금과 두 자녀의 학비·결혼자금 ..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12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집 두채 가진 40대 자영업자 부부, 오래된 아파트·토지 매각 고민 Q. 부부가 함께 미용실을 운영하고 있는 김모(47)씨는 경기도 외곽에 아파트 2채를 소유하고 1채는 월세를 주고 있다. 오래된 아파트여서 임대 수입이 시원치 않아 대안이 없는지 궁금하다. 15년 전 매입했던 인근의 토지에도 최근 6억원에 매수자가 나와서 고민 중이다. 좀처럼 가격 변동이 ..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12
[한마당 염성덕] 생애 마지막 여행 버킷 리스트(bucket list)란 죽기 전에 하고 싶은 것을 적은 목록을 말한다. 이 말은 같은 이름의 영화 때문에 유명해졌다. 웰빙(well-being)과 함께 웰다잉(well-dying)도 중요하다는 세태를 반영해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영화 ‘노킹 온 헤븐스 도어’는 시한부 인생을 살고 ..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08
<최재석의 동행> 행복한 죽음, 준비해야 한다 암과 싸우며 미 대륙 횡단여행에 나섰던 91세 할머니 (서울=연합뉴스) 다시 한 번 '행복한 죽음'을 생각했다. 암 진단 후 항암치료를 마다하고 평소 꿈꿔온 북미 대륙 횡단여행에 나섰던 91세의 미국 할머니가 1년여의 여정을 마치고 편안하게 생을 마감했다는 뉴스를 접하고서다. 그는 병석..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08
재산 물려받고도…98%는 상속세 한 푼도 안 낸다 [연합뉴스TV 제공]박광온 의원실 자료…"공제 기준 개선해야"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재산을 상속받고 실제 상속세를 내는 비율은 2%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절반에 달하는 근로소득세 면세 비율을 줄이기로 하면서도 면세 비율이 훨씬 높은 상속세에 대한 공제 혜택 축..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08
지금은 부동산 상속 붐! 효과적인 증여 절세 방법은? 상속이 무엇인지 아마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상속의 사전적인 의미를 되짚어 보자면 ‘사람의 사망으로 인한 재산상 법률관계의 포괄적인 승계’를 뜻하는데, 쉽게는 죽은 후 갖고 있던 재산을 직계가족에게 물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상속은 보통 가지고 있는 금전적인 재산을 ..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08
소통 없는 증여 가족 갈등 불씨 "효도계약서와 유언장이 가족 갈등을 줄일 수 있다." 상속·증여 분쟁 해결사로 불리는 방효석 KEB하나은행 상속증여센터 변호사의 얘기다. 2012년 은행 최초의 고객 상담 변호사가 된 그는 고액 자산가의 상속·증여뿐 아니라 이혼, 유류분, 유언 등 수천건의 가정 분쟁을 상담했다. 지난.. 지혜롭게 사는길 2016.10.05
신탁 활용한 상속, 증여 재산 관리서 상속까지 '원스톱' #1. 자수성가한 사업가 이모(67) 사장은 지난달 초 한 은행의 고객 세미나에 초청받았다. VVIP 고객 5명만을 위한 자리였다. 설명회가 끝난 뒤 이사장은 2명의 자녀에게 각각 현금 10억원씩 증여했다. 그동안 그는 목돈을 한꺼번에 물려주면 자녀들이 무리하게 운용할 것을 염려했다. 마음이 .. 지혜롭게 사는길 2016.09.22
상속재산 10억 넘으면 '육십분 전략'을 ... 배우자에겐 6억원 "인간이 살면서 피할 수 없는 두 가지가 바로 죽음과 세금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 벤저민 프랭클린의 얘기처럼 누구나 죽을 때까지 내야 하는게 세금이다. 특히 최고 상속세율 50%를 부담해야 하는 고액 자산가에겐 부담이 크다. 게다가 인구 고령화, 지속되는 저금리로 상속·증여를 .. 지혜롭게 사는길 2016.09.22